경제·금융

서비스업 6개월만에 증가세… 내수회복 '꿈틀'

도·소매업 생산 감소폭 축소 <br>음식업 13개월·자동차 6개월만에 증가세<br>소매업은 23개월째 감소세 지속

서비스업 생산이 6개월만에 증가세로 돌아서 내수회복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도.소매업 생산의 감소세가 지속됐지만 감소폭이 줄었고 내수경기를 체감할 수있는 음식점업과 자동차 판매도 각각 13개월과 6개월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하지만 대표적인 내수업종인 소매업 생산은 23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어 확실한 내수 회복기 진입여부는 좀더 두고봐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4년 12월 서비스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작년 12월 서비스업 생산은 자동차, 음식점업, 운수업, 의료업, 통신업 등의 증가세로 전년 같은달에 비해 0.4% 늘어났다. 서비스업 생산이 증가세를 보인 것은 지난해 6월 이후 처음이다. 그러나 지난해 전체 서비스업 생산은 전년보다 0.1% 줄어들며 1999년 관련 통계작성 이후 처음 마이너스를 기록, 지난해 내수부진이 심각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도매 및 소매업 생산은 전년 같은 달보다 0.5% 줄었지만 10월 -2.7%, 11월 -1.7% 등에 비해 감소폭은 상당히 축소됐다. 소매업 생산은 음식료품(3.7%), 의약품 및 화장품(2.6%), 무점포소매(1.1%) 등의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기타상품 전문소매(-7.0%), 가정용기기 및 가구(-4.6%), 종합소매(-2.5%) 등의 부진으로 전년 동월보다 1.8% 줄었으나 감소폭은 전월의 -3.4%보다 대폭 줄었다. 도매업 생산은 가정용품(2.6%), 음식료품(2.0%) 등의 판매가 증가했지만 건축자재 및 철물(-9.0%), 기타산업용중간재(-4.9%), 금속광물 및 1차 금속제품(-2.1%) 등이 위축돼 0.5% 줄어들며 5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세부업종별로는 음식점업이 전년 같은 달보다 1.5% 늘어나 2003년 11월 이후 13개월만에 증가세로 돌아섰고 자동차 판매도 5.9% 증가해 지난해 6월 이후 6개월만에처음 증가세를 보였다. 또 오락.문화.운동 관련 서비스업은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자들의 지출억제로 0.6% 줄었지만 감소폭은 전달의 -11.2%보다 상당히 축소됐고 교육서비스업은 학원(-8.0%) 등의 수업료 수입 감소로 4.6% 줄었다. 부동산 및 임대업은 기계장비 임대업(6.5%)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른 부동산업(-6.4%)의 부진으로 2.9% 줄었으나 감소폭은 전월의 -6.9%에 비해 축소됐다. 숙박업은 전체적으로 9.5% 늘어났지만 호텔이 한류열풍 등으로 20.6% 늘어나 호황을 누리고 있는 반면 여관은 지난해 9월부터 시행된 성매매특별법 등의 영향으로8.7% 줄어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미용, 욕탕, 세탁업, 예식장업 등 기타 서비스업의 매출도 5.6% 줄었지만 감소폭은 전월의 -8.1%보다 축소됐고 운수업(5.5%), 통신업(3.6%), 의료업(5.4%) 등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서비스업활동동향만을 놓고 보면 내수회복 조짐이 보이지만 아직 확신할 수 없다"며 "정확한 추세는 올 1월과 2월 통계가 나와야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