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그룹 계열사 등급 봐주기 관행 없애기로

신평사들 평가방식 개선 추진

신용평가사들이 기업의 신용등급에 대한 평가 방식을 바꾼다. LIG건설처럼 그룹 계열의 회사면 등급을 더 주곤 했던 관행, 즉 '덤의 등급'을 주지 않겠다는 뜻이다. 신용평가회사의 한 고위임원은 14일 "지금까지는 그룹 계열사라고 하면 신인도를 인정해 무조건 반 등급 정도는 더 주곤 하는 이른바 '평판 캐피털'이 존재해왔다"며 "차제에 이를 바로잡는 작업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는 그룹 계열사라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그룹과 얼마나 연계돼 있는지가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즉 H건설처럼 그룹 내에서 비중이 확실히 크고 주력 계열사로서 역할을 할 경우에는 '평판 캐피털'을 더 인정해주겠지만 LIG건설처럼 꼬리를 떼어내도 무방한 계열사들에 대해서는 '덤의 등급'을 더 이상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금융 당국도 이 같은 점에 인식을 같이하고 신평사들과 공동으로 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당국은 건설사들이 법정관리 신청 전 기업어음(CP)를 발행해 도덕적 논란이 불거지고 있지만 최종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다는 점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금융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CP는 본질이 어음인 만큼 상품 자체가 위험하다"며 "문제가 생겼을 때 책임은 투자자가 져야 한다는 것을 이번 사태를 통해 명확하게 깨우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CP는 회사채보다 발행 절차가 훨씬 쉽다는 것이다. 특히 미국의 경우 CP 발행 기업 대부분이 최고 등급인 A1을 받은 곳이 대부분이지만 우리는 BBB 등급 중에도 CP를 발행하는 곳이 있을 만큼 안정성을 담보하기 힘든 측면이 있다. 당국의 다른 관계자는 "건설사들이 법정관리 전 CP를 발행한 것은 모럴해저드의 측면이 있고 증권사의 경우 판매자로서 투자자에게 위험성을 제대로 알려야 하는 '선관의 의무'를 충실히 하지 못한 것이 유감"이라면서도 "투자자들 또한 당장의 높은 수익률에 현혹돼서는 안 된다는 것을 깨닫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