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고이상형 선고유예자 퇴직규정 지방공무원법 위헌

공무원이 금고 이상 형에 대한 선고유예 판결을 받은 경우 당연 퇴직하도록 규정된 현행 지방공무원법은 헌법에 위반된다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나왔다.헌재 전원재판부(주심 김영일 재판관)는 29일 부산시 기장군 장안읍사무소에 근무하던 중 허위공문서 작성 등 혐의로 기소돼 징역 6월의 선고유예 판결을 받고 퇴직한 곽모씨가 제기한 헌법소원 사건에서 위헌결정을 내렸다. 재판부는 결정문에서 "이 법률조항은 공무원의 기본권을 과도하게 제한하고 있으며, 공직제도의 신뢰성과 공무원 기본권을 적절하게 조화시키지 못함으로써 공무담임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공무원의 퇴직사유 규정은 범죄의 유형과 내용 등으로 사유 및 범위를 가급적 한정해야 하는데 이 법률은 금고 이상의 선고유예 판결을 받은 모든 범죄를 지나치게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헌재 관계자는 "이번 결정은 지금까지 쉽게 제한되거나 침해됐던 공무원 신분이헌법상 엄격히 보장돼야 하는 것을 선언한 것으로, 공무원들의 퇴직공포가 다소 완화돼 공직사회에 적극적 공무수행 분위기가 정착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동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