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여야 7ㆍ28 재보선 앞두고 총리실 사찰관련 폭로전 가열

야‘특정지역 주도 국정 난맥상에 따른 권력투쟁’, 여 ‘사찰 피해자 비자금 조성 의혹’

‘ ‘특정지역 출신 주도의 국정 난맥상에 따른 여권 내 권력투쟁(민주당)’ ‘ 사찰 피해 민간인, 참여정부 비자금 제공 창구(한나라당)’ 사실상 미니총선이라 불리는 7ㆍ28 재보궐선거가 2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인 불법사찰’을 놓고 여야의 폭로전이 가열되고 있다. 야당은 여권 특정라인이 주도한 ‘권력 게이트’에 따른 여권 내 권력다툼이라고 공세의 수위를 높인 반면 여당은 사찰 피해자의 (구 정권을 위한) 정치 비자금 조성의혹을 제기하며 물타기에 나섰다. 우선 민주당은 이명박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의원의 보좌관 출신으로 대선 전에 선진국민연대를 주도한 박영준 총리실 국무차장을 비롯한 선진국민연대와 여권 내 영포라인의 국정농단주장에서 나아가 권력 내 암투설을 제기했다.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8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서 “얼마 전 KB금융지주 회장 선임 과정에도 박영준ㆍ정인철(청와대 기획관리비서관) 라인이 관련됐다는 말도 들었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박 차장이 2008년 정두언 의원 등의 공격을 받고 청와대를 떠나며 후임으로 기용한 정인철 비서관이 금융권 CEO(최고경영자) 모임을 정기적으로 소집하고, 박 차장의 지시에 따라 청와대 기구 개편안을 직보해 자리를 지키려 하거나 영전하려 하면서 권력 내 알력이 심해졌다는 주장이다. 민주당은 아예 국정조사 실시를 촉구하는 한편 이 사건의 핵심 배후로 이상득 의원까지 전선을 확대했다. 반면 조전혁 한나라당 의원은 8일 사찰 피해자인 김종익씨가 옛 KB한마음(현 NS한마음) 대표로 재직하는 동안 전 정권 실세를 위해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조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KB한마음의 거래업체 중 한 곳이‘KB한마음이 협력ㆍ거래업체들과 매출액 조정, 비용 부풀리기의 수법으로 전 정권 실세를 위한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제보와 함께 증거자료를 제공했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이 자리에서 제보자로부터 받은 세금계산서와 입출금통장 내역을 공개했다. 그는 이어 “이번 사건의 본질은 국민은행을 사유화해 비자금 마련의 통로로 쓰려다가 불거진 권력형 비리”라고 주장했다. 김씨는 이에 대해 “총리실과 검ㆍ경이 그렇게 조사했는데, 사실이라면 드러나지 않았을 리가 없다”고 반박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