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내년 세계인구 절반이 도시 거주

2030년엔 60% 육박…3분의 1이 슬럼가에


전세계 인구 가운데 도시에 사는 사람이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오는 2008년에 절반을 넘으면서 도시화 혁명(Urban Revolution)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 같은 급격한 도시화는 세계 각국에 기회인 동시에 해결하기 힘든 과제를 안겨줄 것이라는 지적이다. 도시화가 높은 경제성장과 더불어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지만 도시인구의 3분의1 이상이 빈민촌(슬럼가)에 사는 등 어두운 면도 함께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7일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행하는 계간지‘금융과 발전(Finance&Development)’은 “세계의 도시인구는 내년에 농촌인구를 사상 처음으로 추월, 50%를 넘어서고 2030년에는 도시화 비율이 더 높아져 60%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했다. 근대화와 산업화의 자연스런 산물인 도시화는 평균 소득 증대와 건강 개선 등 삶의 질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하지만 도시화를 주도하는 개발도상국들 안에서의 소득 불균형은 비싼 도시주거비 등과 맞물려 빈민촌에서 생활하는 인구 비중이 점점 더 늘어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도시 빈민촌에서는 영양실조와 아동 사망의 비율이 훨씬 높고 교육률 역시 비슬럼지역에 비해 떨어지며 항상 환경재난과 오염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것이다. IMF 보고서에 따르면 2007년 도시 빈민인구는 10억명을 넘어 섰고 2020년에는 13억9,000만명에 도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 “도시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등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기존 개발사업을 지방으로 분산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도시계획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IMF 보고서는 현재 일본의 도쿄 하나뿐인 인구 3,500만명이 넘는 메트로폴리탄 대열에 2015년이면 인도의 뭄바이와 브라질의 상파울루, 멕시코의 멕시코시티도 합류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