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국인 지분율 2001년 이래 '최저'

올 22兆 순매도, 전체 시총의 32%에 그쳐

국내 증시에서의 외국인 지분율이 지난 2001년 이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3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현재 외국인 투자가가 유가증권시장에서 보유 중인 주식의 시가총액은 305조7,655억원으로 시장 전체 시총(940조1,948억원)의 32.52%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말(37.22%) 대비 4.7%포인트나 감소한 수치다. 이 같은 외국인 지분율은 데이터 분석이 시작된 2001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외국인 지분율은 2001년 말 36.64%에서 2002년 말 36.01%로 다소 낮아졌다가 2003년 말 40.09%, 2004년 41.97%로 급등세를 탔다. 특히 2004년 4월26일에는 44.11%로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이후 하락세로 돌아서 2005년 말, 2006년 말에는 각각 39.70%, 37.22%로 떨어졌다. 외국인 지분율이 올 들어 대폭 낮아진 것은 현재까지 22조6,000억여원을 순매도하는 등 외국인들이 국내 주식을 대거 처분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유가증권시장 18개 업종 가운데 12개 업종의 외국인 지분율이 하락한 가운데 운수창고업이 지난해 말 대비 8.95%포인트나 떨어졌다. 운수장비(-8.54%포인트), 철강금속(-8.39%포인트), 기계(-7.15%포인트) 등도 외국인 지분율이 크게 낮아졌다. 외국인의 ‘팔자’가 집중돼 지분율이 크게 내려간 종목은 웅진홀딩스(-25.29%포인트), 나산(-24.59%포인트), 대한해운(-23.94%포인트) 등이었다. 반면 외국인 지분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통신업으로 지난해 말보다 8.96%포인트 높아진 43.26%의 지분율을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