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外銀매각 당시 이헌재 前부총리 재산 급증

검찰, 주변인물 계좌추적 확대…신용대출 의혹도 조사

外銀매각 당시 이헌재 前부총리 재산 급증 검찰, 주변인물 계좌추적 확대…신용대출 의혹도 조사 관련기사 • 이헌재 前부총리 출국금지 • 이헌재씨 외환銀매각 개입 단서 확보? • 이헌재씨 계좌추적… 론스타 수사 탄력 • 다시 주목받는 이헌재 사단 외환은행이 미국계 사모펀드인 론스타에 매각될 당시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의 재산이 급증한 것으로 파악돼 검찰이 이 전 부총리의 비리 연루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환은행 헐값 매각 의혹을 수사 중인 대검 중수부는 17일 이 전 부총리는 물론,부인 진모씨와 신재하 전 모건스탠리 한국지사 전무 등 주변 인물들로 계좌 추적을 확대하고 있다. 먼저 검찰은 이 전 부총리가 2003년 초 외환은행 한남동 지점에서 주택구입 자금 10억원을 대출받을 당시 2003년 11월부터 2006년 4월까지 10차례 분할 상환키로하고도 2003년 6월부터 8개월만에 1억~2억원씩 전액을 갚은 과정을 조사 중이다. 검찰은 또 외환은행 매각작업이 진행되던 시기를 전후해 이 전 부총리의 재산이크게 늘어난 점도 중시해 헐값 매각 과정에 모종의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하고 있다. 2004년 2월 취임 후 신고한 공직자 재산등록 내역에 따르면 2000년 8월 재경부장관 퇴직 이후 부총리로 복귀할 때까지 3년6개월만에 25억원이었던 재산이 86억원으로 61억원 가량 늘었다. 부인 명의의 예금만 8개 금융기관에 28억3천여만원이 있었고, 임야와 전답도 신고액만 8억여원이었다. 외환은행 대출금으로는 1억원을 신고했다. 2005년에도 1년 동안 4억7천여만원이 늘었다고 신고했다. 이 전 부총리는 경기도 광주 일대에 사둔 전답과 임야 가운데 9개 필지를 2003년 매각할 당시 공시지가와 실매도액의 차액 46억원을 재산변동신고에 반영했기 때문에 재산이 증가했다고 해명한 바 있다. 검찰은 이 해명의 진위를 파악하는 한편 문제의 토지 매입자의 자금 출처도 조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토지는 공교롭게도 외환은행이 최종 매각된 2003년 8월을 전후해 이 전 부총리의 부인과 매수자들 사이에 거래가 시작됐다. 검찰은 이 전 부총리가 2000년 8월 물러난 뒤 토지매각과 김&장 법률사무소 고문 등 대외 활동을 하면서 재산이 크게 늘었고, 주택을 살 때 저금리 담보대출을 활용하는 게 일반적인데도 신용대출을 받은 경위를 확인할 방침이다. 은행측은 이 전 부총리에게 10억원 중 4억원에 대해 9%대인 신용대출 금리를 3%가량 낮춰주고 근저당설정 비용도 떠안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부총리는 대출금 10억원 중 2억원은 수표로 갚은 것으로 전해져, 검찰은 은행에서 확보한 전표 등을 통해 수표와 나머지 현금의 출처를 조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검찰은 계좌추적을 통해 이 전 부총리와 이미 구속된 변양호 전 재경부 금융정책국장, 신씨 등 외환은행 매각 의혹 관련자들 사이에 돈 거래가 있었는지도 분석하고 있다. 이 전 부총리는 10억원 대출과 관련해 정기예금과 적금 만기가 돌아오는 대로 상환했다며 여러 의혹을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이광철 기자 입력시간 : 2006/06/17 10:4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