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휘발유값 부담 수준 OECD 국가중 5위

정유업계 분석, 美는 한국의 7분의1에 그쳐


국제유가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국제유가가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소득 대비 휘발유 값 부담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5번째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일 정유업계가 OECD 각국의 지난해 8월부터 올해 3월까지의 휘발유 가격 동향을 입수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국민총소득(GNI) 대비 휘발유 값 부담률을 100으로 놓고 볼 때 슬로바키아(179.3)가 가장 높았고 이어 폴란드(177.5), 헝가리(137.6), 체코(121.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이들 나라에 이어 5위로 파악됐으며 이어 포르투갈(97.2), 멕시코(84.8), 그리스(62.1), 이탈리아(53.8), 스페인(51.8) 등이 차례로 10위권에 랭크됐다. 이번 조사 대상국은 OECD 30개국 가운데 가격이나 관련세금 통계가 잡히지 않는 스위스ㆍ터키ㆍ노르웨이ㆍ네덜란드ㆍ아이슬란드 등 5개국을 제외한 25개국이었다. 이 조사에서 미국 등 선진국들은 대부분 한국보다 크게 낮은 부담률을 나타냈다. 특히 미국은 소득 대비 휘발유 값 부담 수준이 14.0으로 가장 낮아 한국의 7분의1 수준에 불과했다. 이어 호주(17.8), 룩셈부르크(20.7), 캐나다(27.4), 일본(28.1), 덴마크(34.4) 순으로 휘발유 값 부담이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정유업계의 한 관계자는 “소득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휘발유 자체 가격만 보더라도 우리나라는 조사 대상국 중 영국ㆍ핀란드ㆍ이탈리아ㆍ벨기에ㆍ덴마크에 이어 6위에 올라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