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위험관리 필요성 커졌다

외환위기 이후 모든 은행이 가계대출에만 치중해 은행의 자산이 동질화 됨에 따라 잠재부실에 대한 위험관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은행은 14일 `금융위기 이후 일반은행의 자산운용의 국제비교`라는 자료에서 “외환위기 이후 모든 은행이 가계대출에만 치중하는 등 군집형태가 심화되고 있다”며 “최근 대기업의 회계분식사건과 가계대출부문의 집중, 경기회복 지연 등을 감안할 대 기업ㆍ가계부문 모두 위험관리의 필요성이 증대했다”고 분석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97년말 총자산의 36.4%에 불과하던 은행의 원화대출운용 비중은 지난해말 57.8%로 크게 증가했고 이 가운데 가계대출 비중은 11.8%에서 29.7%로 두 배 이상 급증했다. 또 2000년 이후 신용카드 업무를 확대하면서 일반은행의 신용카드채권 운용비중도 2.2%에서 3.1%로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국내 은행의 부실여신비율이나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서는 여전히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지난해말 한국 은행의 부실여신비율은 2.43%로 일본(8.4%)에 비해서는 크게 낮지만 미국(1.46%)에 비해서는 높았다. 무수익여신대비 대손충당금적립비율은 103.7%로 미국의 127.2%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한은 관계자는 “자산운용의 외형을 확대하기 보다 건전성 유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며 “정교한 위험관리체계를 구축해 신용위험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연선기자 bluedash@sed.co.kr>

관련기사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