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경영권 침해 서슴지 않는 현대차 노조

[사설] 경영권 침해 서슴지 않는 현대차 노조 현대차 노조가 30~31일 파업 찬반을 묻는 조합원 투표에 들어갔다. 국민들의 따가운 눈총은 물론이고 올해 임단협만은 무분규 타결을 이뤄보자는 상당수 조합원들의 의견조차 무시한 채 파업수순을 강행하는 노조 지도부의 독선에 기가 질린다.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에 임하는 회사 측의 자세는 과거에 비해 아주 적극적이었다. 노조 측의 요구를 받아들여 일괄타협안을 내놓았고 협상안 내용에서도 고심한 흔적이 엿보인다. 임금인상폭은 지난해 협상에서 타결된 수준이었고 성과급 300%, 격려금 100만원 등을 지급하겠다고 했다. 그만하면 회사 측이 상당히 성의를 보인 것 같다는 게 많은 조합원들의 반응이기도 하다. 그런데도 노조 지도부는 만족할 수준이 아니라며 협상결렬을 선언한 뒤 파업수순을 밟고 있다. 노조의 요구를 보면 무리한 것이 너무 많아 노조인지 경영진인지 분간이 안 될 정도다. 회사의 경쟁력을 감안할 때 턱없이 높은 임금인상 및 복지 요구는 자제돼야 할 일이지만 한발 물러서 그건 있을 수도 있는 일이라 치자. 그런데 노조는 생산과 수출입 물량, 해외투자 결정 등을 노조와 협의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런 사항은 경영권에 관한 것으로 협상 대상이 아닐 뿐 아니라 사측이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것으로 협상을 하지 말자는 이야기나 다름없다. 생산ㆍ판매ㆍ투자결정 등은 경영전략의 핵심으로 국내외 시장동향에 따라 신속ㆍ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이뤄져야지 노조의 동의를 받을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노조의 요구 중에는 해외 공장 때문에 국내 공장의 일거리가 부족해질 경우 그 물량을 국내로 가져오라는 내용도 있다. 또 해외 공장 생산물량은 해당 국가에서만 팔고 다른 나라에서의 판매나 국내 수입을 하지 말라는 요구도 있다. 해외 생산으로 국내 고용사정이 나빠질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게 그 이유다. 시장 상황이야 어떻든 노조원들의 일거리와 임금은 무슨 일이 있어도 보장을 받아야겠다는 것이다. 노조이기주의의 극치로 세계 자동차 업계에 이런 사례가 있는지 궁금하다. 현대차 노조의 무리한 요구와 막무가내식 파업은 정평이 나 있다. 이런 추세라면 아예 경영권을 내놓으라는 주장까지 나올지 모르겠다. 입력시간 : 2007/08/30 16:5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