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5월 7일] GMO농산물, 명확히 표기하자

지난 1일 미국산 식용 유전자조작농산물(GMO) 옥수수 5만7,194톤이 국내에 상륙하면서 미국산 쇠고기의 광우병 위험 논란과 함께 국내 소비자들의 먹거리 불안감이 거의 패닉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사실 GMO 옥수수를 둘러싼 위험성 공방은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한 달 전 서울 양재동 에이티센터에서 열린 ‘GMO가 식량수급과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의 세미나에 참가했던 한 참석자의 말처럼 ‘마치 다람쥐 쳇바퀴 돌 듯 10년째 같은 상황만 되풀이’되고 있다. 이 세미나는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GMO 수입은 시기상조’라는 소비자단체의 주장과 ‘현재 국내에 수입되는 GMO 작물은 모두 안전하다’는 관련 연구기관, ‘세계적 곡물파동으로 GMO 농산물 수입은 더 이상 불가피하다’는 식품업계의 입장이 팽팽히 맞선 가운데 결국 아무런 소득 없이 막을 내렸다. ‘애그플레이션’이라 불리는 전세계적인 곡물파동으로 국내 전분당업체들의 GMO 옥수수 수입이 예고돼왔지만 GMO 식품을 둘러싼 논란은 10년 동안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0년째 변하지 않은 또 한 가지는 수수방관하고 있는 정부의 모습이다. 세미나에 참석했던 농림수산식품부 관계자는 곡물의 안정적 수급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는 얘기만 반복할 뿐 GMO 농산물 수입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산 GMO 옥수수가 국내에 상륙해 인터넷을 중심으로 국민들의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는 이 시점에도 아직까지 정부는 이렇다 할 뚜렷한 입장 발표가 없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정부는 정확하지 않은 정보로 막연한 불안감에 휩싸인 국민들의 의혹을 해소해줘야 한다. 정말 GMO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해 자신 있다면 정부와 관련 업계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서 소비자에게 안전성을 알려나가는 것이 순서다. 또 현행 GMO 표시제도의 대상을 확대해 소비자들이 직접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국민에게 GMO 식품인지 아닌지를 알 권리, 일단 알고 난 다음에 먹든 안 먹든 스스로 선택할 권리를 줘야 한다는 얘기다. 먹거리에 관한 한 “이미 일어난 문제에 대한 대응이 아닌 앞을 내다보고 행동해야 한다”는 미래학자 제러미 리프킨의 충고가 아쉬운 순간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