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비정규직-정규직 임금격차 더 벌어져

지난해 임금 증가율 1/3 그쳐… 임금수준도 62% 불과

비정규직의 임금 증가율이 정규직의 3분의1에 불과해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가 지난해 더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정규직의 임금 수준은 정규직의 62.2%에 불과했다.


28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4년도 고용 형태별 근로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정규직 시간당 임금은 1만8,426원으로 5.1% 증가했지만 비정규직은 1만1,463원으로 1.8% 늘어나는 데 그쳤다.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시간당 임금총액은 1만6,701원으로 전년 6월보다 3.9% 증가했다. 비정규직 중 단시간근로자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임금이 줄어들었다. 아르바이트생 등 단시간근로자의 임금은 1만1,603원으로 7.4% 늘었지만 건설일용직 등 일일근로자(1만2,589원)는 1.4% 감소했다. 기간제근로자(1만1,872원)도 1.2% 줄었으며 파견근로자(1만189원)는 무려 3.9% 하락했다.

관련기사



상여금과 성과급 등 연간 특별급여도 정규직이 542만9,000원으로 전년보다 8.1% 증가한 반면 비정규직은 33만3,000원으로 전년보다 12.2% 감소했다. 이로 인해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임금 수준은 2013년 6월 64.2%에서 지난해 6월 62.2%로 떨어졌다. 사회보험 가입률, 퇴직금, 노조 가입률 등 전반적인 복지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모든 지표에서도 비정규직 차별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규직의 건강보험 가입률은 97.8%에 달했지만 비정규직은 51.2%에 불과했다. 국민연금 가입률도 정규직이 97.6%, 비정규직이 48.2%로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고용보험의 정규직 가입률은 95.4%, 비정규직은 63%였다.

상여금을 받는 근로자도 정규직은 69.4%에 달했지만 비정규직은 23.8%에 그쳤다. 퇴직금을 받는 대상은 정규직이 93.1%였지만 비정규직은 45.1%에 머물렀으며 노동조합 가입률은 정규직이 12.4%에 달한 반면 비정규직은 1.4%에 불과했다.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