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세금·공공료 줄줄이 오른다

경기는 갈수록 내려앉는데…<br>담뱃값 중순, 부동산거래세·車세금 내년부터<br>버스·하수도·전기·쓰레기 봉투값도 인상 대기

경기는 바닥을 모르고 내려앉는데 국민 생활에 드는 비용은 부동산과 자동차, 기름 관련 세금부터 건강보험료와 각종 공공요금까지 줄줄이 올라간다. 연말부터 시작해 내년 상반기까지 상승요인들이 줄지어 대기하고 있다. 5일 재정경제부 등 관계당국에 따르면 이달 중순부터 국민 생활과 직결된 각종 세금이 속속 올라간다. 당장 이달 중순부터 담뱃값에 붙는 세금이 500원 올라가고 내년 초부터는 이사갈 때 들어가는 부동산거래세가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20~30% 가량 오른다. 단독과 다가구주택은 과표기준 현실화로 획기적 세율조정이 없을 경우 최대 3배까지 상승한다. 자동차 관련 세금도 올라 생계형으로 쓰이는 7~10인승 자동차의 세금이 내년부터 6만5,000원에서 20만원대로 3배 이상 늘어난다. 연료인 경유 값도 올라간다. 건강보험료도 올해 건보 재정이 1조5,590억원이라는 사상최대의 흑자폭을 기록했음에도 불구, 또다시 2.38% 늘어난다. 수업료도 인상된다. 서울시 교육청은 공ㆍ사립고교의 분기당 수업료를 31만9,800원에서 33만5,700원으로 5% 인상했다. 공공요금 인상도 줄을 잇는다. 서울에 이어 경북ㆍ경남 등 지방 광역자치단체들이 내년 초 버스요금을 올린다. 서울 등 5대 도시의 택시운송사업조합은 내년 2~3월 10~20% 요금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는 또 내년 4월께 하수도요금을 올리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쓰레기봉투 값도 시ㆍ군ㆍ구 기초자치단체별로 인상된다. 한국전력은 연료비 상승에 대한 부담을 감안해 내년 상반기에 5% 안팎 전기요금을 올린다. 서울시내 액화천연가스(LNG) 공급가격이 지난달부터 6.2% 오르는 등 도시가스 공급가격이 일제히 상승한 만큼 이달부터 각 가정은 요금이 오른 고지서를 받게 된다. 볼거리 비용도 상승한다. 문화재청은 경복궁 등 5개궁의 성인기준 입장료를 현행 1,000원에서 3,000∼5,000원으로 올리고 14개 능원의 입장료는 500원에서 1,000원으로 상향 조정한다. 내년 상반기 어린이대공원ㆍ서울대공원의 입장료도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