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인자살 20년새 5배늘어

남자 10만명당 113명으로 여자 2배 넘어<br>사망원인은 암·뇌혈관질환·심장질환順

노인자살 20년새 5배늘어 남자 10만명당 113명으로 여자 2배 넘어사망원인은 암·뇌혈관질환·심장질환順 김영기 기자 young@sed.co.kr 자식들과 따로 사는 노인들이 늘어나면서 생활고(苦)와 외로움을 이기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노인의 비율이 최근 3년 만에 2배, 20년 전과 비교해서는 5배나 크게 늘어났다. 노인 가운데 남자는 암, 여자는 뇌혈관질환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통계청이 20일 내놓은 ‘고령자 사망원인 분석결과’를 보면 65세를 넘은 고령자 가운데 10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자가 지난 2003년 72.5명으로 2000년의 35.6명보다 2배 이상 늘었다. 노인의 자살인 수는 83년에는 14.3명에 불과했다. 특히 남자의 경우 자살인구가 113.4명으로 사상 처음 100명을 넘어 여자(46.9명)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노인 10만명당 타살로 숨진 사람이 2.6명에 이른 점도 무시 못할 통계로 보인다. 고령자의 사망원인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역시 암이었다. 2003년 기준으로 10만명당 961.2명이나 됐다. 암 외 다른 사망원인에는 ▦뇌혈관질환 744.2명 ▦심장질환 310.8명 ▦당뇨병 223.7명 ▦만성 하기도질환(천식 등) 216.5명 ▦고혈압성 질환 119.0명 ▦고의적 자해(자살) 72.5명 ▦간질환 72.3명 ▦폐렴 63.1명 등이 있었다. 성별로는 남자의 경우 암(1,515.8명)과 뇌혈관질환(809.7명), 심장질환(330.0명), 만성 하기도질환(307.9명), 당뇨병(238.5명) 등의 순이었고 여자는 뇌혈관질환(703.3명)에 이어 암(615.1명), 심장질환(298.9명), 당뇨병(214.5명), 만성 하기도질환(159.5명) 등의 질환으로 숨졌다. 지난 20년 동안 가장 높은 사망률을 기록했던 3대 암은 위암과 간암ㆍ폐암 등이었다. 위암이 93년부터 줄어들고 있는 반면 폐암이 계속해 늘어나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암으로 사망한 사람 가운데 남자는 폐암으로 숨진 사람이 가장 많았고 여자는 위암의 사망률이 높았다. 남자의 폐암 사망률은 여자보다 4배 이상 높았고 위암과 간암 사망률 역시 2.5배 이상 높았다. 사망률이 급증한 암으로는 남자는 대장암ㆍ췌장암ㆍ전립샘암ㆍ방광암 등이며 여자는 대장암ㆍ췌장암ㆍ자궁암ㆍ유방암 등이었다. 조사에서는 또 고령층의 당뇨병 사망률이 83년 33.4명에서 2003년 223.7명으로 6.7배 가량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노인들이 당뇨병 예방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갈수록 늘어남에 따라 고령 사망자 수는 83년 11만5,200명에서 93년 12만5,900명, 2003년 15만6,900명으로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전체 사망자 중 고령 사망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83년 43.7%에서 93년 52.3%, 2003년 63.8%로 20년 만에 20.1%포인트 증가했다. 하지만 고령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의료기술이 발전하면서 고령인구 1,000명당 사망자 수인 고령자 사망률은 83년 71.3명에서 93년 52.2명, 2003년 41.2명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입력시간 : 2005/07/20 16:5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