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책과 세상] 채권시장 발자취·실무구조등 종합적 정리

■ 한국 채권시장의 실제와 이론 (김봉수·정희준 지음, 코리아본드웹 펴냄)


채권시장의 발자취를 초창기부터 짚어보고 제도와 현황, 실무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했다. 그간 우리나라 자본시장은 주식시장 일변도로 성장해왔는데 더 성숙된 선진시장으로 가기 위해서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시장 등의 균형된 발전이 필요하다는게 저자들의 시각이다. 김봉수 한국거래소(KRX) 이사장과 정희준 경영학 교수가 현장과 이론을 접목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문성이 큰 분야여서 전문가는 물론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하지 못했던 채권시장을 일목요연하고 쉽게 설명했다는 것이다. 특히 김이사장은 한국채권시장의 산증인이자 키움증권을 대형증권사로 키워내 화제를 모았던 인물이다. 책에서도 채권시장에서 오랫동안 실무를 직접 담당하며 겪어왔던 시장발전에 대한 소명과 학문적 관심과 전망까지 담았다. 쉬운 언어로 채권의 의미에서부터 분류체계, 이자의 발생과정과 평가 등 채권의 기본이론은 물론 거래시스템, 채권수익률과 채권가격과의 관계, 시장의 현상과 배경, 행간의 의미 등을 설명했다. 저자는 국내 채권시장이 자금의 조달과 운용, 이를 통한 산업의 성장이라는 결실과 분배를 통해 경제주체들과 상호 교감 하면서 시대의 요구를 수용하고 발전하는 과정이었다고 소개한다. 우리나라 채권시장의 과거와 현재를 정리하고 이를 기초로 발전적인 미래방향을 제시한 점도 특징이다. 채권의 기본이론과 구조화 채권, 이자율 및 통화스왑 등의 파생상품에 대한 이론과 평가, 제도변천사, 한국 채권의 발행시장과 유통시장 구조 등도 상술해 채권시장을 넓고 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3만3,000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