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아파트 주간 시세] 서울·수도권 모두 0.03% 하락세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아파트값이 일제히 하락했다. 미국ㆍ유럽발(發) 금융위기의 장기화 조짐으로 매도자들은 가격 조정 매물을 내놓지만 매수자들은 추가 하락을 우려해 관망하는 분위기다. 9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부동산 매매시장의 가격변동률은 -0.03%를 보였다. 신도시 및 수도권 집값도 각각 0.02%와 0.03% 떨어졌다. 서울 지역의 경우 재건축 시장 거래가 크게 위축돼 주간 -0.20%의 변동률을 보였다. 지역별로 ▦송파(-0.11%) ▦양천(-0.10%) ▦강동(-0.08%) ▦강남(-0.05%) ▦중랑(-0.02%) ▦노원(-0.02%) 등이 하락했다. 송파는 잠실주공5단지의 경우 10월 들어 거래가 크게 위축돼 값이 가구당 1,000만~2,000만원 내렸다. 가락시영 아파트 가격도 거래 부진으로 1,000만~1,500만원 하락했다. 양천구에선 신정동 목동신시가지 13단지의 중대형 아파트 가격이 1,500만~2,500만원 하락했다. 신도시의 경우 일산 등에서 급매물이 출시돼 4주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지역별로 ▦일산(-0.06%) ▦분당(-0.02%) 등이 하락했고 중동ㆍ평촌ㆍ산본에선 변동이 없었다. 일산 장항동 호수대우, 현대, 청구 등 중소형 아파트 가격은 250만~850만원 정도 하락했다. 분당의 중대형이 가격 하락을 주도하면서 구미동 까치대우롯데선경과 금곡동 청솔대원 등이 500만~2,000만원 가량 내려갔다. 마찬기지로 거래부진 상태에 있는 경기 고양ㆍ과천ㆍ파주 등 일부 지역에서 급매물이 나와 ▦김포(-0.06%) ▦파주(-0.04%) ▦고양(-0.04%) ▦과천(-0.03%) ▦군포(-0.03%) ▦성남(-0.03%) 등이 하락했다. 김포는 새 아파트 입주 영향으로 기존 아파트의 하락세가 이어졌다. 고촌읍 월드메르디앙, 힐스테이트(2단지) 대형 면적이 1,000만~3,500만원 정도 하락했다. 과천 역시 거래가 안되고 일부 저가 매물이 출시되면서 원문동 래미안슈르 등 중대형 주택이 500만원 정도 하락했다. 반면 전세물건 부족으로 매매전환 거래 사례가 나타난 ▦안산(0.02%) ▦오산(0.02%) ▦화성(0.01%) 등은 소폭 오름세를 나타내기도 했다. 전세시장은 추석 이후 차츰 안정을 찾아가는 모습이다. 지역별로 ▦서울(0.05%) ▦신도시(0.03%) ▦수도권(0.05%) 모두 상승폭이 줄어들었다. 가을 이사시즌이 마무리되면서 수요가 진정되고 있으며 서울 인접 지역과 전셋값이 비교적 저렴한 경기 외곽 지역에서만 수요가 이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