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하나되는 통신·방송] <3> 인터넷TV(IPTV)

‘PC같은 TV'…放-通갈등에 도입 요원<BR>드라마·뉴스 보다가 의상주문·기사검색 가능<BR>방송계 “공익성”·통신 “기술” 앞세워 영역다툼<BR>통합 규제기구 설립·상호불신 해소 서둘러야


[하나되는 통신·방송] 인터넷TV(IPTV) ‘PC같은 TV'…放-通갈등에 도입 요원드라마·뉴스 보다가 의상주문·기사검색 가능방송계 “공익성”·통신 “기술” 앞세워 영역다툼통합 규제기구 설립·상호불신 해소 서둘러야 관련기사 • 인터넷TV, 해외선 어떻게 하고있나 • 인터넷TV 前단계 ‘TV포털’도 있어요 ‘제4의 TV 혁명이 일어난다’ 지난 1926년 흑백TV가 처음 나왔을 때 사람들은 그것을 ‘혁명’이라고 불렀다. 54년 컬러TV의 등장은 ‘제2의 TV 혁명’이었고, 지난해 7월 4년 여에 걸친 디지털TV(DTV) 전송방식 논쟁이 종식됐을 때는 ‘제3의 TV 혁명’이 시작된다고 시끄러웠다. 그런데 제3의 혁명은 꽃을 피우기도 전에 제4의 혁명에 자리를 내줘야 할 판이다. 인터넷TV(IPTV)의 등장은 80년간 고착된 TV 시청환경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을 디지털 미디어 혁명으로 평가된다. ◇거실의 제왕이 IT를 집어삼킨다= 인터넷TV의 파괴력은 이미 생활 속으로 깊숙하게 스며든 IT 기술이 ‘거실의 제왕’인 TV에 접목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고도화된 통신 인프라가 TV에 연결되면 일단 시청 가능한 채널 수가 이론상으로 995개까지 늘어난다. 시청자는 수백개의 채널 중 원하는 것만 손쉽게 골라낼 수 있다. 방송국이 시청자에게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만 하던 단방향 커뮤니케이션은 일순간에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탈바꿈한다. 드라마 속 주인공이 입고 있는 의상을 즉석에서 주문하거나 가요 프로그램에서 흘러나오는 최신곡을 구매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프로그램 제작 형태에 따라 시청자들의 직접 참여가 다양한 형태로 이뤄진다. 이 뿐만이 아니다. 인터넷상에 널려있는 영화ㆍ만화ㆍ음악ㆍ게임 등 디지털 콘텐츠도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소비할 수 있다. TV 뉴스를 보다가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해지면 인터넷 신문에 접속해 해설기사를 읽을 수도 있다. TV가 PC의 역할까지 거의 완벽하게 대체하는 것이다. ◇통신ㆍ방송계 갈등에 도입은 오리무중= 인터넷TV는 통신과 방송이 본격적으로 융합되는 첫 시험대다. 그만큼 양대 영역의 관심도 지대하다. 방송계는 일단 정통부와 통신사업자들의 주도로 추진되는 인터넷TV에 대해 큰 반발과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방송의 공익성과 시청자 편익이라는 관점에서 면밀하게 검토해야 할 ‘뉴미디어’를 산업ㆍ기술의 논리로만 밀어붙인다는 것이다. 방송위원회는 일찌감치 인터넷TV를 ‘별정방송’으로 규정하고 통신이 아닌 방송의 영역에서 타당성을 따져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방송위 주관으로 인터넷TV 시범사업을 단독 추진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이는 통신사업자들의 불참으로 사실상 무산됐다. 방송업계의 한 관계자는 “통신사업자들이 인터넷TV 사업을 하겠다면 기존 방송사업자들이 받고 있는 규제를 똑같이 적용받아야 할 것”이라며 “기술 논리만 앞세워 방송시장의 ‘룰’을 무시하고 무혈입성 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정통부와 통신사업자들은 방송계의 이 같은 반발이 케이블TVㆍ지역민방 등 방송업계의 왜곡된 구조와 취약한 경쟁력을 덮기 위한 전략이라고 보고 있다. 정통부의 한 관계자는 “케이블TV 업계는 아직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하지 못한 데다 수십개의 소규모 지역사업자가 난립하고 있다”며 “구조조정이 채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인터넷TV가 도입되면 공멸할 것이라는 위기감 때문에 강력히 저항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사정으로 인터넷TV가 언제쯤 서비스될 지는 아직도 오리무중이다. 가장 큰 의욕을 보이고 있는 KT는 연내 자체 방송센터를 구축해 시범서비스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물론 방송위와 정통부가 시범서비스 착수에 합의한다는 전제가 성립될 때 가능한 얘기다. 방송위와 정통부는 최근 인터넷TV 실무협의기구를 구성하기로 합의해 ‘일보 전진’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업계는 정작 별로 기대할 것이 없다는 분위기다. 통신업계의 한 관계자는 “방송위의 확고한 생각은 인터넷TV 도입을 최소 2~3년은 늦춰야 한다는 것”이라며 “이번 실무협의체 합의도 방송위의 독자 시범사업 선언이 무위로 끝난 뒤 내놓은 ‘제스처’에 불과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법ㆍ제도 융합보다 불신부터 해소해야= 이 같은 갈등을 해소하려면 통신ㆍ방송의 융합을 아우를 수 있는 법령의 정비와 통합 규제기구 설립이 시급하다. 그러나 이에 앞서 방송과 통신업계가 서로에 대한 불신을 허물어뜨리는 게 더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케이블TV방송협회는 최근 “정통부는 통신업체들에만 특혜를 주지 말고 케이블TV 업계의 디지털 기술표준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정통부가 인터넷TV의 조기도입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추진한다는 일부 보도를 접하고 격앙된 감정을 쏟아낸 것이다. 케이블TV 업계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방송위ㆍ정통부로부터 규제만 받고 육성 차원에서 지원받은 것은 거의 없다”며 “(통신쪽과) 형평이 맞지 않는다는 피해의식이 크다”고 말했다. 인터넷TV를 허용하려면 케이블TV에 적용되는 방송권역 구분을 비롯해 채널편성·제작·지역채널 등의 각종 규제를 완화해 줘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통신 쪽도 방송계의 반발을 무시한 채 지상파 방송의 실시간 전송 등을 고집할 게 아니라 당장 가능한 ‘주문형 인터넷 콘텐츠(ICOD)’ 서비스부터 차근차근 시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터넷TV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케이블TV 업계의 협조도 필수적인 만큼 극단적 대결구도는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통부의 한 관계자는 “양쪽이 제도적 합의를 이루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ICOD 위주의 기술검증부터 착수하면 시장이 꼬인 실타래를 풀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5/07/05 16:4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