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지난해 억대 연봉자 42% 늘었다

27만9,000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1.8% 차지<br>평균 연봉 울산 최고… 기부는 중산층보다 인색


지난해 억대 연봉을 받은 회사원은 27만9,000명으로 지난 2009년보다 42.3%나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소득 대비 기부금 비율은 억대 소득자보다 오히려 중산층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이 22일 발간한 '2011년판 국세통계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총 급여액 1억원이 넘는 근로자는 27만9,000명으로 전년(19만6,000명)에 비해 8만3,000명 늘었다. 전체 근로자(1,514만명)에서 억대 연봉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4%에서 1.8%로 높아졌다. 업종별 억대 연봉자는 제조업(32.6%)이 가장 많았고 금융ㆍ보험(21.1%), 서비스업(14.6%) 등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연간 소득이 높을수록 종합소득 대비 기부금 비율은 오히려 줄었다. 1억 초과~5억 이하 소득자의 기부금 비율은 소득액의 1.92%(1인당 341만원), 5억 초과 소득자는 1.62%(2,152만원)이었다. 기부금 비율은 8,000만원 초과~1억원 이하에서 2.08%(186만원)로 가장 높았다. 4,000만원 초과~8,000만원 이하 소득자는 2.02%(112만원), 1,000만원 초과~4,000만원 이하는 1.44%(28만원), 1,000만원 이하는 0.71%(3만원)를 나타냈다. 국세청은 "종합소득금액 4,000만원 초과~1억원 이하가 전체 기부금 신고자의 30.8%였으며 금액 비중도 30%에 달해 기부활동이 가장 활발했다"고 설명했다. 자영업자의 변동을 알 수 있는 종합소득세 신고자는 50대가 2009년 22.7%에서 2010년 24.3%, 60대가 12.5%에서 12.9%로 늘었다. 주소별 근로자의 평균연봉은 울산이 3,4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서울은 3,000만원, 경기도는 2,600만원이었다. 평균 급여가 적은 곳은 대구(2,300만원), 제주ㆍ인천(2,200만원)이었다. 양도소득세 신고로 볼 때 자산 중 양도차익률은 주식이 71.5%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코스닥의 양도차익률은 74.3%나 됐다. 토지와 주택은 각각 64.3%, 33.3%이었다. 전문직 가운데 1인당 연간 매출액(과표기준)은 변리사(6억1,800만원), 변호사(4억2,300만원), 관세사(3억3,900만원)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신용카드 사용액은 1년 전(2009년)보다 77조원(20.4%) 늘어난 456조8,000억원, 현금영수증 발급액은 7조원(10.6%) 증가한 76조원을 나타냈다. 국세청의 지난해 세입은 166조원으로 집계됐다. 세무서별로는 증권사 등 금융기관이 밀집한 영등포세무서의 세수가 12조3,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