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2013년부터 LTE 스마트폰 재난문자 서비스

오는 2013년부터 롱텀에볼루션(LTE) 스마트폰으로 재난문자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과 소방방재청은 국내 이동통신사와 협의해 2013년 1월 1일부터 국내 LTE 재난문자방송서비스(CBS) 표준을 기반으로 한 재난문자 서비스를 LTE 이동통신망에서 제공한다고 16일 밝혔다. 재난문자는 전국 시∙군∙구 단위로 최대 180바이트(한글 90자)까지 발송된다. 단말기에 안내창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통화 중에도 수신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소방방재청은 LTE 재난문자 송출 시스템을 도입하고 이동통신사는 재난문자 전송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 국내 휴대폰 제조사는 앞으로 출시하는 LTE 단말기에 재난문자 수신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앞서 출시된 LTE 단말기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할 계획이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제외한 기존 3세대(3G) 일반휴대폰은 단말기 장애와 배터리 과다소모 문제로 인해 재난문자 서비스에서 제외된다. 기존 스마트폰은 국가재난안전센터 애플리케이션을 무료로 내려받아 재난문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TTA가 제정한 국내 LTE 재난문자 표준은 지난 7일 독일에서 열린 ‘3G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3GPP) 54차 기술총회’에서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이에 따라 외국에서 생산돼 국내에 판매되는 LTE 단말기도 재난문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