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9월 22일] LED 조명산업 발전의 전제조건

고유가와 이명박 대통령의 ‘저탄소 녹생성장’ 비전 제시에 힘입어 LED조명사업이 각광 받고 있다. 지난해 50여개였던 LED조명업체는 올 들어 100여개까지 늘어났으며 최근 청와대에서 열린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 보고회’에서 구본무 LG 회장이 LED조명분야에 9,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히는 등 대기업도 관련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태세다. 이처럼 LED조명산업이 본격적인 성장을 준비하고 있지만 한편에서는 악영향을 미칠 악재 또한 동시에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 후발주자들이 선발업체들의 제품을 베껴 판매하면서 기술개발 의욕을 꺾고 시장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선발업체의 관계자는 “우리가 공공기관 및 대기업 본사 등에 LED조명을 공급하는 데 성공하자 후발 업체들이 제품 규격을 모방한 조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며 “마땅히 제재할 방법이 없어 고민”이라고 말했다. 주식시장에서는 LED조명산업이 테마로 부각되면서 관련 사업에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는 이야기만으로도 주가가 요동을 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가뜩이나 허약한 요즘 주식시장의 특성상 건전한 산업발전보다는 머니 게임의 대상이 될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상황들이 이제 막 성장궤도에 오르려는 LED조명업체들의 기술개발 노력과 정도경영의 의욕을 꺾어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LED조명산업이 성숙해지기 위해서는 업계와 정부의 공동 노력이 필요한 때라는 생각이 든다. 업계 차원에서는 의장등록과 특허 소송만으로는 제품 베끼기를 예방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만큼 동업자 의식을 갖고 업체 간 협약을 맺는 등 자율규제에 나서야 할 것이다. 정부는 최근 업체 간 기술 베끼기 관행이 정부의 최저가 입찰제 영향이 크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는 점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제대로 된 LED조명 표준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천기술 분석이나 제품규격에 대한 검증 없이 무조건 저렴한 제품만 선호하다 보니 후발 업체들이 신기술 개발 대신 베끼기에 치중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