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20일 “올해 1~7월 전·월세 주택 거래량 83만6,637건 가운데 월세 주택은 총 32만5,830건으로 전체의 38.9%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이는 국토부가 월세 거래량을 조사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최고치다.
전·월세 거래량 가운데 월세 비중은 2011년에는 평균 33%였으나 2012년에는 34%로 높아진 뒤 올해 들어 다시 4.9%포인트 추가 상승했다.
월별로도 지난해까지 30~35% 수준을 유지하던 월세 비중은 올해 1월 처음으로 42.3%를 기록하며 40%를 돌파한 뒤 3월 40.2%, 7월 39.6%로 지난해에 비해 월세비중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아파트의 경우 1~7월 월세 비중이 평균 30.4%로 2011년 25.4%에서 2012년 25.7%로 상승한 뒤 처음 30%를 넘어섰다.
아파트는 통상 다가구·다세대 등이 포함한 일반 주택에 비해 월세 비중이 낮은 편이었으나 올해 1월 32.6%로 처음 30%를 넘어선 뒤 지난달에는 33.3%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토부의 전월세 거래량에는 계약후 동사무소 등을 통해 확정일자를 받는 전세와 반전세(보증부 월세)만 포함되고 확정일자를 받지 않는 순수 월세는 제외된다는 점에서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월세주택의 비중은 이보다 높을 것으로 추산된다.
국토부의 ‘주택·주거실태 조사’에서도 지난해 수도권 주택의 월세 거주 비율은 23%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월세 비중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것은 저금리가 장기화되면서 집주인들이 인상된 전셋값을 월세로 돌리는 ‘반전세’ 유형이 크게 증가한 때문이다.
2008년 이후 집값이 보합내지 하락세를 보이면서 전세를 놓아 전세금으로 다른 집을 사느니 월세를 놓고 임대수입을 챙기겠다는 집주인들이 많이 늘어난 것이다.
최근 3~4년간 도시형 생활주택 등 1~2인 가구를 위한 월세형태의 소형주택 공급이 크게 증가한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이에 비해 임차인들은 월세보다는 전세주택을 선호하면서 비수기에도 전셋값이 급등하는 부작용이 나타났다.
이와 관련, 정부와 여당은 20일 당정협의를 거쳐 이르면 이달 말께 월세 세입자 부담 경감을 포함한 전월세 시장 안정 대책을 내놓을 방침이다.
/디지털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