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칼럼] 중동, 세계경제에 편입돼야 테러퇴치 노력결실가능

제임스 플래니건 (LA 타임스 비즈니스 컬럼니스트) 세계무역센터(WTC)에 대한 테러가 이뤄진 직후 중동지역 젊은이들의 환호하는 모습을 지켜본 미국인들은 이에 대해 상당한 분노를 느꼈을 것이다. 그러나 중동의 젊은 청년들이 그렇게 된 까닭이 종교 뿐만 아니라 낙후된 경제 때문이란 점을 이해하는 이는 별로 없어 보인다. 이 지역 젊은이 상당수는 일자리가 없으며, 이에 따른 불만을 미국에 대한 증오와 테러리즘에 대한 지지로 표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이 테러리즘과의 전쟁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군사, 외교적 노력뿐만 아니라 이 지역의 경제성장을 도와야 한다. UCLA의 시티븐 스피겔 교수도 최근 인터뷰에서 "중동지역의 경제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부시 대통령의 테러 퇴치 노력은 성공을 거두지 못할 것"이라며 이 문제의 중요성을 피력했다. 지난 주 미국의 대(對)테러 전쟁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던 유럽의 투자자들도 이 같은 견해에 동의하며 이 지역의 '경제병'에 대한 치료를 강조했다. 정치불안과 테러리즘의 '근원적 뿌리'가 바로 이 같은 경제적 낙후 때문이란 것이다. 이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곳이 아프가니스탄의 인접 국가인 이란이다. 인구 6,200만명으로 산유국인 이란의 연간 국내총생산(GDP)은 인구 4,700만명인 한국의 4분의 1에 지나지 않는다. 이란의 공식적인 실업률은 10%이지만 구직 자체를 포기한 사람까지 합할 경우 많은 수의 젊은이들이 일자리 없이 방황하고 있다. 이들이 과격단체인 헤즈볼라와 팔레스타인 하마스의 주요 지지층이다. 이 같은 상황은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 알제리 등 원유 생산 유무와 상관없이 대다수 중동국가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유럽ㆍ미국ㆍ아시아 지역에 비해 두 배 가량 높은 출생률로 인해 경제는 더욱 피폐해지고 있다. 원유라는 자원을 갖고 있는 이 지역이 왜 이렇게 됐을까. 전문가들은 세계경제에 편입에 실패하면서 성장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국제자본이 투자되지 않으면서, 산업이 성장하지 못했기 때문이란 얘기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이 지역이 세계경제에 편입, 미국과 유럽 국적의 공장이 건설되고 원유이외의 제품에 대한 국가간 교역 비중이 높아져야 한다. 이럴 때만이 중동의 젊은이들이 자살테러도 불사하는 과격단체 대신 안정적인 생활이 보장되는 직장을 선택할 것이다. 일부 회의론자들은 이슬람 문화가 산업성장과 병존할 수 없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 물론 자본주의적 경제시스템 중 이슬람 문화가 받아들일 수 없는 부문이 분명 있지만 이것이 경제성장 자체를 어렵게 하지는 않는다. 실제 이슬람교의 신인 마호메트도 자본은 늘 움직여야 하며 최대한 많은 땅에서 작물을 재배해야 하고 무역의 흐름을 막는 독점은 금지해야 한다는 등의 자본주의적 율법을 설파했다. 사실 지난 10년간 주어진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면, 중동지역은 지금보다 훨씬 많은 발전을 이룩했을 것이다. 지난해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평화협정을 체결했다면 지금쯤 상당한 미국과 유럽의 자본이 중동에 투자됐을 것이다. 지난 93년에 체결된 오슬로 협약이 그대로 이행됐다면 상당한 발전이 있었을 것이나 95년 이스라엘의 이츠하크 라빈 총리가 암살되면서 이 협약은 물거품이 됐다. 워싱턴의 테러리즘에 대한 전쟁선포로 우리는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상당기간 이어질 이번 테러와의 전쟁으로 중동 경제구조의 왜곡을 가져온 상당수 독재자들이 축출되는 등 정치지형이 바뀔 것이다. 그 빈자리를 또 다른 독재자가 아닌 민주주의적 시스템으로 채우기 위해서 분명 이 지역의 경제발전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부시 행정부는 이해해야 한다. 장순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