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리에 우는 서민] 2금융권은 '주먹구구'… 금리 산출체계도 없어

저축銀등 CD 연동 상품 전무<br>他社 상황 살펴 금리 올리기도

SetSectionName(); [금리에 우는 서민] 2금융권은 '주먹구구'… 금리 산출체계도 없어 저축銀등 CD 연동 상품 전무他社 상황 살펴 금리 올리기도 김영필기자 susopa@sed.co.kr

은행권의 금리책정 방식이 베일에 쌓여 있다면 2금융권은 아예 숨길 것도 없다. 산출체계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말 그대로 주먹구구다.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는 시장금리에 얼마 정도를 얹는다는 개념 자체가 성립돼 있지 않다. 저축은행이나 신용협동조합 등에서는 양도성예금증서(CD) 연동 대출이나 예금상품이 사실상 전무하다. 2금융권에서는 은행의 예금금리나 대출금리를 감안해 추가로 금리를 얹는 수준이다. 영업을 위해 수신이 추가로 필요하면 다른 저축은행의 상황을 살펴 금리를 올린다. 저축은행의 정기예금은 은행보다 1~1.5%포인트 정도 높은 것이 정석이고 신협이나 새마을금고 등은 비과세 혜택 때문에 저축은행보다는 조금 낮은 수준으로 금리를 유지한다. 저축은행의 경우 대출금리도 수익을 더 내야 한다면 금리를 추가로 높인다. 그만큼 일반 고객 입장에서는 필요 이상의 비용을 부담할 가능성이 높다. 수신도 자산을 운용할 곳이 없다면 대출금리를 올리지 않는다. 철저히 수요공급의 개념에서 금리를 정하는 것이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축은행은 예대금리차가 10%포인트를 넘나들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신협이나 농협 등 상호금융기관은 설립 목적상 예대금리차를 크게 유지할 필요가 없지만 금융위기 때는 이 폭이 사상 최대치로 커졌다. 그만큼 조합원에게 부담을 지운 셈이다. 저축은행 업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2금융권에도 조달(수신)금리 등은 있지만 은행처럼 세밀하고 정교한 방법을 통해 금리를 정하지는 않는다"며 "감에 의존하는 경향이 짙다"고 설명했다. 그나마 대부업체는 대출시 무조건 법정 최고 금리(연 39%)를 적용하는 방법을 쓴다. 시장금리는 고려 대상 자체가 아니고 신용등급도 무용지물이다. 대부업체의 영업방식은 대출 고객에게 법정 최고 한도만큼 금리를 적용해 수익을 내는 형태다. 대부업체 내부적으로는 광고비용ㆍ대손비용 등에 대한 원가분석은 돼 있지만 최고금리를 적용해 막대한 수익을 내고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