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전동차시장 경쟁땐 5년간 1兆 절감"

현재 독점 상태인 국내 전동차 시장에 경쟁체제가 도입되면 향후 5년간 6,000억~1조원의 예산절감 효과가 예상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철도차량업체인 디자인리미트는 18일 “최근 서울 지하철 2호선 교체사업 입찰결과, 전동차 1량 당 가격이 당초 예상가인 12억원에서 7억9,100만원으로 하락했다”며 “이에 따라 앞으로 경쟁체제가 계속된다면 5년간 6,000억원 이상, 전기기관차까지 합하면 1조원 가량의 국가 예산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입찰은 디자인리미트가 일본 히타치 전동차와 손잡고 전동차 시장에 본격 뛰어들면서 1999년 빅딜(대규모 사업교환) 이후 사실상 처음으로 경쟁입찰 방식으로 진행됐다. 디자인리미트는 1단계 기술평가에서 탈락, 로템이 수주했지만 경쟁체제 도입으로 낙찰가격은 당초 예산에 비해 141억7,500만원이 떨어졌다. 디자인리미트 관계자는 “국내 전동차 가격은 빅딜 전 1량 당 5억~6억원 선이었다가 빅딜 이후 2000년 8억원대, 2002년 12억원대에 이어 지난해 9월 지하철 9호선의 경우 14억원으로 치솟았다“며 “빅딜 이전 1량당 평균 단가(4억8,900만원)와 비교할 때 로템이 그동안 수주한 968량, 1조여원 중 5,140억원은 거품이었던 셈”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로템은 “가격인상은 사양 고급화 및 알루미늄 차량으로 재질을 변경한데 따른 것”이라며 “국내 전동차 수주가격은 평균 8억8,800만원으로 해외수주 평균가격(16억8,600만원)에는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정영오기자 young5@hk.co.kr>

관련기사



정영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