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건설·조선 내년초 퇴출작업 왜?

"고비 넘겼다"… 지원서 퇴출로 방향선회<br>은행 자본확충 어느 정도 마무리<br>대통령도 "불안요인 서둘러 제거" <br>건설 200곳·조선 26곳 1차 심사<br>한달안에 퇴출대상 선정 '속도전'


건설·조선 내년초 퇴출작업 왜? "고비 넘겼다"… 지원서 퇴출로 방향선회은행 자본확충 어느 정도 마무리대통령도 "불안요인 서둘러 제거" 건설 200곳·조선 26곳 1차 심사한달안에 퇴출대상 선정 '속도전' 우승호 기자 derrida@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금융감독원이 건설업체와 중소 조선사에 대한 ‘지원’에서 ‘퇴출’로 방향을 선회한 것은 은행의 자본확충이 어느 정도 마무리됐고 글로벌 금융위기도 큰 고비는 넘겼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 이명박 대통령이 ‘속도전’을 강조하면서 ‘시장의 불안요인을 서둘러 제거하라’는 메시지도 무시할 수 없는 배경으로 평가된다.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23일 기자간담회에서 “살릴 기업은 살리되 회생 가능성이 없는 기업은 과감하고 신속하게 정리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일주일 만에 퇴출기준과 절차를 마련해 퇴출대상을 선정하겠다”며 속도전을 다짐했다. 주재성 금감원 부원장보는 “은행들이 어느 정도 자본을 확충한 만큼 본격적인 기업 구조조정에 나설 수 있게 됐다”며 “금감원이 나서서 평가기준과 절차를 마련해주면 은행들은 그 기준과 절차에 따라 구조조정 작업을 진행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달 안에 퇴출 대상 선별=지금까지 기업 퇴출에 시간을 끌어왔던 금감원이 속도전을 다짐했다. 금감원은 신속하고 일관성 있는 퇴출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이날 은행의 업종 담당 심사역과 회계법인ㆍ신용평가사 등 7명 내외로 업종별 신용위험평가 태스크포스를 설치했다. 회계법인은 삼일PWCㆍ삼정KPMGㆍ한영E&Yㆍ안진딜로이트 등 4대 회계법인 두곳이 1개 업종씩 담당하고 신용평가사도 한국기업평가ㆍ한국신용평가ㆍ한신정평가 등 3곳을 모두 참여시켰다. 연말까지 업종별 신용위험평가를 위한 기준과 세부절차가 마련되면 내년 초부터 은행이 구조조정 작업에 나서게 된다. 김 원장은 “신용위험평가 결과가 업체별 구조조정 방향을 결정하는 잣대가 될 것”이라며 “회생 가능성이 없는 기업은 본격적으로 정리하겠다”고 강조했다. 은행권에서는 한달이면 퇴출 대상 기업을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시중은행 여신담당부장은 “은행들은 올 상반기부터 업종별 론리뷰(대출심사)를 통해 기업들에 대한 내부평가를 끝낸 상황”이라며 “금감원에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면 이르면 한달 정도면 퇴출 대상 한두 곳은 고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차 심사대상은 건설사 200곳, 조선사 26개=기업 구조조정 1순위는 건설사와 중소 조선업종이다. 건설사 중에는 여신공여액 500억원을 넘는 곳이 대상이고 중소 조선업체의 경우 해외 수주 실적이 있는 26곳이 신용위험평가 대상에 포함된다. 이들 업체 중 유동성 부족으로 신규자금을 요청했거나 조만간 요청할 예정인 기업은 우선적으로 평가한다. 은행들은 금감원이 정해준 심사기준에 따라 기업을 ▦정상(A) ▦일시적 유동성 부족(B) ▦부실징후(C) ▦부실(D) 등 4개 등급으로 분류한다. B등급은 신규자금 지원을 조건으로 자구계획(양해각서 체결)을 마련해야 된다. C등급은 외부자금지원이나 별도 차입 없이는 기존 차입금 상환이 어려운 업체로 유동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자금관리인 파견 ▦경영정상화계획 이행약정 체결 ▦경영정상화 가능성 점검 등을 거쳐야 한다. 반면 D등급은 신규자금 지원이 끊어지고 대주단협약에 의한 채권행사 유예조치도 취소돼 사실상 시장에서 쫓겨나게 된다. ◇퇴출은 건설사 10여곳, 조선사 3~5곳 될 듯=시장의 관심은 퇴출 대상 건설사와 조선사가 몇 곳이나 될 것이냐에 모아진다. 주채권은행들은 “퇴출의 칼자루는 정부가 쥐고 있다”고 밝혔다. 대내외적으로 고려해야 할 변수가 너무 많아 어떤 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퇴출폭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한 시중은행 부행장은 “미분양 아파트 판단도 기준에 따라 14만가구에서 40만가구까지 격차가 크고 그에 따른 자금부족액도 30조원에서 80조원으로 편차가 크다”며 “조선업체의 경우에도 ‘독(dock)이 있느냐 없느냐’를 기준으로 한다 해도 ‘시설자금을 확보했느냐’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잣대를 어떻게 만들고 내년도 건설경기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퇴출 대상 숫자가 결정되겠지만 주택건설 비중이 높고 미분양이 많은 곳은 퇴출 우선 대상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은행들은 시장의 충격 등을 고려할 때 퇴출 대상 건설사는 대상업체 200개의 5%인 10여곳, 조선사가 3~5곳 안팎에서 결정될 것으로 예상했다. ▶▶▶ 관련기사 ◀◀◀ ▶ 건설·조선 내년초 퇴출작업 왜? ▶ 건설·조선 구조조정… 대주단·패스트트랙 운용은 ▶ 건설사 10여곳·조선 3~5곳 내년초 퇴출작업 착수 ▶ "내년부터 기업 옥석가리기 본격 나설것"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