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도시 집중화로 초대형 재난 위험성 증가

남아시아 지진 해일(쓰나미) 참사로 인간과문명이 자연 재해의 가공할 파괴력에 얼마나 취약한 존재인지를 실감하고 있다. 남아시아 쓰나미 피해는 유엔이 이미 지난 1970년대 부터 자연재해에 대한 국제적 대처를 촉구해온 상황에서 벌어진 것어어서 지구 차원의 재해 예방 체제 마련의시급성을 새삼 일깨워 주고 있다. 여기에 더해 독일 재보험업체 뮌헨리가 11일 펴낸 보고서 `거대 도시-거대 위험'은 세계적인 도시 집중 현상에 따라 거대 도시들이 남아시아 쓰나미 참사 못지 않은재해를 당할 위험성이 급속하게 커지고 있음을 지적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지난 1800년대 후반 세계 도시인구 비중은 3% 미만이었으나 산업혁명 이후 급속하게 늘어나기 시작해 1950년에는 30%, 지금은 약 절반이 도시민이다. 오는 2030년엔 도시 인구비중이 60%를 넘어설 것으로 유엔은 전망하고 있다. 또 도시 규모도 점점 커지고 있다. 1900년 당시 세계 최대 도시였던 런던권역의인구는 600만명이 약간 넘었으나 50년 뒤 최대 도시인 미국 뉴욕의 경우 1천200만명으로 늘었다. 현재 1위인 일본 도쿄권역 인구는 3천500만명에 달한다. 유엔은 1970년대에 인구 800만명 이상의 도시를 거대도시(megacity)로 규정했으나 1990년대에 이미 1천만명으로 높였다. 현재 전세계 인구의 9%인 약 2억8천만명이 거대도시에 살고 있으며, 향후 10년안에 3억5천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유엔은 예상하고 있다. 도시 집중화가 이뤄지는 것은 어찌보면 인간의 문명의 관점에서 보면 자연스러운 일이다.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 중심 기관들과 시설들이 밀집해 있고 일자리가 있는 곳으로 사람들이 모여들 수 밖에 없다. 특히 세계화 시대에 국제적으로 영업을 하는 대기업들일수록 각종 인프라와 유통망, 노동력 등이 갖춰진 대도시를 떠나기 어렵다. 문제는 인구가 밀집하고 각종 인프라가 집중된 대도시일수록 재해에 더 취약하다는 데 있다. 예컨대 대도시에선 출근길에 지하철이 고장나 한 두시간 만 운행이중단돼도 큰 혼잡이 빚어지고 국가 경제적으로도 손실이 크다. 그러나 이런 작은 일이 아니라 대형 사고나 자연재해가 일어날 경우 피해 규모와 사회적 혼란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커진다. 예를 들어 세계 최대 도시인 일본 도쿄에서 지진이나 화산 폭발이 있을 경우 엄청난 인명과 재산피해, 사회적 혼란이 발생하게 되며, 세계화 시대의 상호 연관성때문에 이는 세계 경제 전체의 의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 지진 해일 발생 시에 조기경보 체제가 가동되더라도 30분에서 몇 시간 먼저 사람이 대피해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이지 아직 인간이 재해 자체를 막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재보험업체 뮌헨리는 이번 보고서에서 세계 주요 도시들이 각종 자연 재해를 당할 가능성이 높음을 여러 객관적 근거를 통해 경고하고 있다. 여기에다 9ㆍ11테러나 수만명이 죽은 인도 보팔의 유독가스 누출사고, 체르노빌원전 방사능 누출사고, 유조선 충돌 등 각종 사고 가능성도 널려 있다. 독일 뮌헨대학 사회학과 울리히 벡 교수는 현대사회를 '위험사회'라고 규정한바 있다. 기술이 고도로 발달할수록 위험도와 규모가 커지고 개인주의 심화로 이런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것이 그의 진단이다. 울리히 벡 교수는 위험사회의 문제를 줄이는 방법은 시장에만 맡겨두지 않고 새로운 윤리화 사회이론에 바탕해 전지구적으로 규제를 하고 개인주의를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한편 뮌헨리는 보고서에서 중앙과 지방정부의 도시계획 당국자, 기업, 건축가등 관련인들이 도시 설계와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재해 위험 평가를 강화하고 대비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뮌헨리의 자연재해 위험지수가 세계 50대 도시 가운데 14번 째로 높은 서울을포함, 도시화가 어느 나라 보다 급속하고 이뤄지고 난개발이 진행된 우리의 총체적인 재난 대책을 재점검해볼 때다. (베를린=연합뉴스) 최병국 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