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 10개 은행, 주택상품 비리로 총 200억달러 이상 배상

BOA 140억달러 달해

뱅크오브아메리카(BOA)를 비롯해 미국의 10개 대형은행이 2008년 금융위기를 촉발한 주택시장 상품 비리와 관련해 총 200억 달러(약 21조3,000억원)를 배상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자산규모 2위인 BOA는 배상 규모가 14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BOA는 7일(이하 현지시간) 2008년 인수한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전문기관 컨트리와이드 파이낸셜이 모기지 금융 전문기관 페니매에 판매한 부실 모기지채권(MBS)에 대해 116억 달러 규모를 배상키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BOA는 이와 함께 지난 2008년 부실 MBS 판매행위에 대해서도 30억 달러를 배상하기로 미 당국과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BOA 외에 씨티그룹, 웰스 파고, JP 모건 체이스, 메트라이프 뱅크, 선트러스트 뱅크 및 US 뱅코프 등의 대형은행들도 총 85억 달러를 배상키로 합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 당국은 이들의 이른바 ‘로보 사이닝’(robo-signing) 관행에도 쐐기를 박았다. 로보 사이닝이란 은행이 대출 심사 때 주택 압류(포어클로져) 절차 등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서명을 강요하고 나서 연체자의 집을 마구잡이로 압류하는 것을 말한다.

애틀랜틱 에쿼티스의 리처드 스테이트 분석가는 이번 조치에 대해 “배상 규모가 예상보다 조금 크지만 시장 불안감을 제거하는 효과는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월가 초대형 은행들은 금융위기 이후 부실 MBS 판매와 주택 부당 압류 등과 관련해 미국 사법 및 금융당국의 조사를 받으며 각종 송사에 휘말려왔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