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소규모 사모펀드 난립에 '제동'


금감원 “불완전판매 여부 점검” 최근들어 증권업계에서 소규모 사모펀드가 난립하자 금융감독당국이 제동을 걸고 나섰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증권사들이 영업실적을 높이기 위해 성과가 부진한 공모펀드 대신 사모펀드 판매에 열을 올리면서 비슷한 구조의 사모펀드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다. 국내 중소형증권사의 한 영업직원은 “회사 차원에서 사모펀드 판매를 강화하고 있다”며 “지점마다 돌아가면서 운용방식에 큰 차이가 없는 사모펀드들을 매주 판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증권사가 계열 운용사를 통해 만든 한 사모펀드는 분할매수목표전환형 펀드로 투자금의 45%를 주식에 투자한 뒤 매월 편입비중을 15%씩 늘려가다 기간별 목표수익률을 달성하면 채권형펀드로 전환되는 구조다. 이 증권사는 이와 비슷한 구조로 최초 투자금 비율이나 월간 편입비중만 조금 바꾼 사모펀드를 이달에만 3개나 판매했다. 공모펀드와도 차별성이 없고 사모펀드끼리도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진 상품들이 계속 출시되자 금융감독원에서도 이에 대해 주시하고 있다. 특히 금감원은 사모펀드의 판매 과정이 공모펀드와 다름 없이 판매직원들의 적극적인 마케팅이나 권유에 의해 이뤄지는 가를 중점 감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펀드가 난립하게 되면 관리에 소홀해지고 비용도 많아지는 만큼 장기적으로 이들을 정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며 “최근 사모펀드 판매과정에서 규정 위반사항이 없었는지에 대해 점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이번 헤지펀드 도입을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 시 사모펀드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정비가 이뤄지는 만큼 소형펀드 난립에 대한 개선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20억~40억원 수준의 소규모 사모펀드들이 많을 경우 운용사들이 제대로 운용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일부 사모펀드는 공모펀드보다 높은 보수를 받고 있는데 사모펀드만의 특색이 없으면서 이 같은 상황이 유지되는 건 옳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일부에서는 사모펀드의 경우 비교적 전문성을 가진 투자자들이 참여하는 만큼 금융당국이 손 쓸근거가 마땅치 않다는 점에서 과도한 개입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금융당국은 이와 함께 공모펀드 난립에 대해서도 감시를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공모펀드의 경우 운용사가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 이상의 다수 펀드를 만들어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것은 문제가 있는 만큼 관심을 갖고 들여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