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비슷한 ELS도 수익률은 제각각

증권사별 상품 꼼꼼히 따져야

약세장에서 주가연계증권(ELS)상품이 쏟아지는 가운데 비슷한 상품이라도 수익률이 제각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조건과 수익률을 꼼꼼히 따지는 ‘선별투자’가 요구된다. 15일 우리투자증권은 홍콩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글로벌 ELS 50호를 판매한다고 밝혔다. 이 상품은 1년 만기 조기상환형으로 3개월 수익 확정시마다 H지수가 기준가 대비 90%, 85%, 80%, 75% 이상이거나 만기일까지 50% 이상 하락한 적이 없으면 연 17.6%의 수익을 지급한다. 그러나 같은 증권사가 지난 11일까지 판매한 거의 동일한 상품의 경우 연 수익률이 21%다. 며칠 사이에 수익률이 3.4%나 뚝 떨어진 셈이다. 또 비슷한 상품이라도 증권사별에 따라 수익률이 제 각각이다. 미래에셋증권이 판매중인 356회 ELS의 경우는 앞으로 1년간 코스피200지수가 최초 기준가 대비 70%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으면 연 16.2%를 제공한다. 그러나 대신증권이 최근 판매한 ELS(기초자산 코스피200지수)의 경우 만기 2년간 70%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으면 연 14%의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 기간에 더 길어 조건충족 확률이 더 떨어지는데도 수익률은 낮다. 또 한국투자증권과 대신증권이 최근 판매한 현대차ㆍ포스코 기초자산 ELS는 수익확정구조가 똑같은 상품인데도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수익률이 각각 17%와 18%로 다르다. 이같이 거의 유사한 ELS상품도 증권사별, 시기별로 수익률이 달라지는 이유는 ▦시기별 기초자산의 변동성 차이 ▦증권사별 수수료 차이 등이다. 이에 따라 ELS투자자들도 증권사별, 시기별로 조건과 수익률을 꼼꼼히 체크하는 품을 들여야 1%라도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하철규 우리투자증권 차장은 “주가하락이 큰 변동성 장세일수록 ELS를 구성하는 파생상품 가격이 떨어져 투자자들에게 돌아가는 수익률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