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제조업 고정자산 48兆 급감

투자 위축으로 99년 392兆서 4년새 344兆로<br>産銀보고서, 설비 노후화로 경쟁력 상실 우려

제조업 고정자산 48兆 급감 투자 위축으로 99년 392兆서 4년새 344兆로産銀보고서, 설비 노후화로 경쟁력 상실 우려 기업들의 매출액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계장치 등 고정자산은 지난 4년 사이에 48조원이나 줄어들어 생산능력 기반이 갈수록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기간 동안 기업의 현금성 자산은 17조원이 늘어나 지난해 말 기준으로 65조원에 달했지만 설비투자는 외환위기 직전의 66%에 불과해 부채비율은 사상 최저인 116%로 떨어졌다. 이는 기업들이 돈을 벌어 현금으로 쌓아놓고 투자를 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로 이에 따른 생산능력 기반 위축이 성장잠재력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우려된다. 29일 산업은행이 매출액 10억원 이상인 2,500개 제조업체의 재무구조를 조사해 발표한 '기업의 보유자산 현황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업체의 지난해 매출액은 604조원으로 지난 99년의 505조원보다 19.6%(99조원) 늘어났다. 반면 총자산은 지난해 말 현재 585조원으로 99년 말의 614조원에 비해 29조원, 4.7% 감소했다. 특히 총자산 중 토지ㆍ건물ㆍ기계ㆍ영업권 등 고정자산은 99년 말 392조원에서 지난해 말 344조원으로 12.2%, 48조원 줄었고 생산능력과 관련 있는 유형자산은 99년 말 270조원에서 지난해 말 242조원으로 10.4%, 28조원 축소됐다. 반면 총자산 중 단기간에 돈으로 바꿀 수 있는 유동자산은 지난해 말 현재 241조원으로 99년 말의 222조원보다 8.6%(19조원) 늘어났고 현금ㆍ단기금융상품ㆍ유가증권 등을 포함한 현금성 자산은 99년 48조원에서 지난해에는 65조원으로 35.4%(17조원)나 증가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 고정자산이 70조원에서 81조원으로 늘어났지만 대기업은 200조원에서 160조원으로 약 40조원이 감소했다. 특히 대기업 가운데 5대 기업의 자산규모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6대 기업 이하 400여개 기업의 자산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산업은행은 이와 관련,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설비투자 규모가 격감했다"며 "특히 중견기업들의 설비투자 위축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어 이들 기업의 투자를 활성화하는 게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홍길 기자 what@sed.co.kr 입력시간 : 2004-07-29 18:51

관련기사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