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50대 고졸 자영업자 경제 불안감 최고

미래 소비 축소 의사도 가장 강해<br>기업 구조조정 반영…40대 대졸 봉급생활자도 나빠

지난 2년간의 장기 침체로 50대 고졸 자영업자들의 체감경기가 다른 계층들에 비해 가장 나빴으며 따라서 미래 소비도 줄이겠다는의사가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잇따른 기업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40대 이상 대졸 봉급생활자의 경제적불안감도 매우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삼성경제연구소가 새해들어 전국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비자태도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졸 출신의 50대 자영업자는 현재와 미래의 경기, 소비성향,가계부채 등 각종 경제여건에서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조사대상자 가운데 무려 83.5%가 작년과 비교한 현재의 경기가 '나빠졌다'고 응답한 가운데 50세 이상이 30.2%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40대 28.0%, 30대19.9%, 20대 5.4% 등의 순이었다. 또 직업별로는 자영업자가 23.4%로 가장 많아 음식, 숙박, 도소매업 등의 어려움을 잘 반영했고 이후 봉급생활자 19.9%, 농림.어업 4.4%, 기타 35.8% 등이었다. 학력별로는 고졸이 40.1%, 대졸 28.9%, 중졸 8.0%, 초등졸 6.5% 등의 순이었다. 미래의 소비를 묻는 질문에도 '줄이겠다'고 대답한 43.0%의 응답자들 가운데 자영업자가 12.8%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봉급생활자 11.0%, 농림.어업 2.5%, 기타 16.7% 등의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50세 이상이 16.2%, 40대 14.6%, 30대 9.0%, 20대 3.2% 등의 순으로나타났으며 학력별로는 고졸이 21.1%, 대졸 14.3%, 중졸 4.6%, 초등졸 3.0% 등의 순으로 나타나 미래소비 축소의사도 50세 이상의 고졸 자영업자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1년전보다 가계부채가 늘었다고 대답한 응답자는 33.1%에 달했으며 이 가운데자영업자가 10.0%로 봉급자 6.9%, 농림.어업 1.2%, 기타 15.1% 등보다 많았으며 학력별로는 고졸이 17.2%, 대졸 11.7%, 중졸 3.1%, 초등졸 1.2% 등의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40대가 13.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0대 10.0%, 50세 이상 9.0%,20대 1.0% 등이었다. 따라서 가계부채는 40대 고졸 자영업자가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됐다. 또 미래의 경기전망에 대해서도 나빠진다고 응답한 31.9% 가운데 자영업자가 9.7%로 봉급자 7.4%, 농림.어업 1.4%, 기타 13.4% 등에 비해 비관적이었다. 연령별로는 40대가 11.6%, 50대 이상 10.9%, 30대 7.4%, 20대 2.0% 등의 순으로나타나 `사오정(45세 정년)'의 비애를 실감케 했다. 학력별로는 고졸이 14.6%, 대졸 11.3%, 중졸 3.6%, 초등졸 2.4% 등으로 고졸의경제적 불안감이 가장 높아 40대 고졸 자영업자가 미래 경기전망을 가장 어둡게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연구소의 이지훈 연구위원은 "소비가 본격적으로 살아나지 않아 내수업종이어려우며 기업들이 생산성 향상을 위해 구조조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세태가 설문조사에서 잘 나타났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