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정부, 산업은행 2조원 출자 통해 투자 활성화 꾀한다

총 30조원 규모 기업투자촉진프로그램 지원

산은, 헬스케어·부산항 등 ‘힘찬 스타트’


정부가 산업은행에 2조원의 마중물을 부어 투자위험도가 큰 대형 프로젝트 활성화에 나선다.

기획재정부는 산업은행이 기업투자촉진프로그램에 15조원 규모로 참여하게 됨에 따라 자본금 보완을 위해 2조원을 현물 출자하기로 했다고 1일 밝혔다.


기업투자촉진프로그램은 신성장산업과 주력산업, 사회간접자본(SOC) 분야 등에서 투자 수요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기 위해 탄생한 정책이다.

관련기사



산업은행과 기업이 1대 1로 매칭해 자금을 지원하는 형태로, 산업은행의 지원자금이 15조원인 점을 고려하면 총 30조원 정도의 투자가 유도된다.

2조원 규모의 현물 출자 대상 재산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출자증권 1조2,000억원과 한국전력공사 주식 8,000억원이다.

이에 따라 산업은행에 대한 정부의 총 출자액은 15조2,000억원에서 17조2,000억원으로 늘어나게 됐다.

동시에 산업은행의 자기자본비율(BIS비율)도 전년 말보다 0.7%포인트 상승한 14.4%를 기록했다.

한편 산업은행은 최근 2,900억원 규모의 ‘헬스케어 창조 클러스터 조성 프로젝트’와 9,085억원 규모의 ‘부산항 신항 2~4단계 컨테이너부두사업’ 등 총 1조2,000억원의 투자 프로젝트 착수로 기업투자촉진프로그램의 스타트를 끊은 바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기존 대출 방식에서 벗어나 기업과 공동투자 및 회사채 인수 등 기업 수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투자 리스크가 크거나 개별 기업이 부담하기 힘든 대형 투자 프로젝트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