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우車 부평공장의 향후 운명

결국 노사관계 달려…인수 대상에서 제외된 대우차 부평공장은 연구개발(R&D)부문을 제외한 제조부문만 떨어져 나와'부평자동차주식회사'(가칭)라는 별도법인으로 새 출발한다. 현재 여러가지 상황을 종합해보면 부평자동차㈜ 가 위탁생산 후에도 생존 가능하다는데 무게가 실린다. 채권단이 이 회사를 모든 부채를 기존 법인에 넘기고 자산만 가져가는 '클린 컴퍼니(Clean Company)'로 만들 계획이기 때문이다. 부채를 떨어낸 깨끗한 상태에서 시작하는 만큼 생산성 향상과 제품경쟁력 제고에 주력, 차를 많이 팔고 이익을 낼 수 있는 좋은 여건이 조성됐다고 할 수 있다. 클린컴퍼니로 새 출발하면 영업실적이 개선될 여지가 많고 이럴경우 회사의 상품가치가 높아져 GM이 위탁생산후 사들이거나 다른 업체로의 매각이 쉬울 것이라는게 채권단의 계산으로 해석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GM이 위탁생산후 인수조건으로 클린컴퍼니로 만들어 줄 것을 요구했으며 채권단이 이 제안을 받아들였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즉, 부평공장이 사실상 GM으로 매각되는 수순을 밟고 있다는 것. 대우차 고위 관계자는 "채권단이 출자전환을 통해 자본금을 조성해 부평자동차를 소유하고 GM과의 협상을 계속 추진할 방침인 것으로 알고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낙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부평공장이 GM의 인수대상에서 빠진 가장 큰 요인이었던 노사문제가 여전히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채권단 관계자도 "위탁생산 기간중에도 노사관계 안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부평공장의 미래는 없다"고 단언했다. 결국 부평공장의 운명은 노조와 근로자들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있는 셈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세계 자동차시장 기상도도 변수다. 현재와 같이 국내를 포함한 세계 자동차시장 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수익성 개선을 기대할 수 없고 결국 상품가치가 떨어져 매각 또는 독자생존을 장담할 수 없다. 임석훈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