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저축銀 "한숨 돌리겠지만 불안 여전"

■저축銀 부실PF 대출채권 사들인다<br>연체율·BIS비율 등 개선불구<br>경영지표상으로만 도움 '한계'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매각으로 한 숨 돌릴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다만 이번 매각조치가 근본적인 치유책이 될 수 없기 때문에 PF발(發) 저축은행 불안은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저축은행 업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25일 "3조8,000억원에 달하는 PF 부실채권을 자산관리공사(캠코)에서 매입해줘 부실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구조조정기금이 대규모로 투입되지만 사후정산 방식으로 매각이 이뤄지기 때문에 국민세금이 축날 일은 없다"고 말했다. 금융감독당국도 PF 채권 매각으로 지난해 말 10.6%였던 연체율은 6.5%로 4.1%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평균 7.47%에서 8.88%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저축은행중앙회의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부실 PF를 방치해 저축은행 줄도산이 현실화되면 대규모 공적자금이 필요하게 되고 금융시스템 안정에도 문제가 생긴다"며 "부실채권 매각으로 사전에 부실을 제거함으로써 금융시장 전반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반겼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저축은행의 경영위기가 끝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금융당국도 이와 관련해 최근 회의를 열고 저축은행에 대한 유동성 지원과 근본적인 체질개선책 등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에 대한 준비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경제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이번 지원은) 사후정산 방식이고 매각대금도 구조조정기금 채권 등으로 지급해 경영지표상으로만 도움이 되는 한계가 있다"며 "저축은행들의 경우 부동산시장은 침체되고 소액신용대출은 대부업에 밀려 수익을 낼 부분이 없어 경영난이 계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금융계의 한 고위관계자도 "상당수 저축은행들이 부동산 PF 부실을 은폐하고 이자를 내지 못하는 곳에 추가 대출을 해주는 경우도 있어 제대로 PF 대출을 점검하면 건전성이 크게 나빠진다"며 "앞으로 수년간 저축은행들이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때문에 저축은행 신뢰도에 대한 중장기 개선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채권매각으로 감독당국과 경영정상화 양해각서(MOU)를 맺는 업체의 경우 고객의 불안감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의 한 관계자는 "시장의 예상만큼 부실 PF 대출을 매각해 어느 정도 안정화를 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저축은행의 경영정상화를 위한 조치를 본격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만큼 추가적인 보완대책으로 근본적인 체질개선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