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스마트워크 도입 기업에 세제지원 추진

스마트워크를 도입하는 기업에 세제지원을 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워크가 가능하도록 현재보다 100배 이상 속도가 빠른 기가(Giga) 인터넷이 조기에 상용화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6일 오는 2015년까지 전체 근로자의 30%가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근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스마트워크 활성화 추진계획’을 수립했다고 발표했다. 스마트워크는 시간과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근무할 수 있는 업무환경을 말하며 재택근무, 집 근처에 설치된 스마트워크센터 근무 등을 포함한다. 추진계획에 따르면 중소기업이 비용부담 등 때문에 스마트워크 도입을 꺼리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스마트워크를 실시하는 기업에 세제를 지원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스마트워크 활성화 촉진법’ 제정이 추진된다. 방통위 관계자는 “스마트워크 도입에 따른 장애 요인을 해소하고 활성화를 꾀하기 위해 관련 법령을 정비할 계획”이라며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등 관련 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스마트워크 활성화 촉진법 제정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 범정부 차원의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이 마련된 이후 일부 대기업 중심으로 스마트워크 도입이 이뤄지고 있으나, 중소기업 등은 비용부담으로 도입이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스마트워크 근무 환경조성을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도 개선된다. 이를 위해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워크가 가능하도록 기가 인터넷이 조기에 도입되며, 와이파이ㆍ와이브로ㆍLTE 구축 등 네트워크 인프라가 고도화된다. 스마트워크 파급효과가 큰 분야에 대한 특화된 시범사업을 통해 저비용ㆍ고품질의 보급형 스마트워크 확산 모델도 개발된다. 이와함께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스마트워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보보호 가이드라인 및 스마트워크 도입ㆍ운영 종합안내서가 마련되고, 스마트워크 환경에 맞는 보안인증제도 및 풍질등급제 도입이 검토된다. 방통위는 스마트워크 도입을 촉진시키기 위한 인프라 개선 및 서비스 상용화에 오는 2015년까지 2,7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