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골드만삭스, 페이스북 가치 뻥튀기' 논란 증폭

골드만삭스가 페이스북 가치를 500억 달러로 평가하고 실제 4억5,000만 달러를 투자한데대해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페이스북의 가치를 실제보다 부풀려 제2의 인터넷 버블을 야기할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이번 투자를 계기로 비상장기업의 공시규정 재검토와 규제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월가 출신의 칼럼리스트인 윌리엄 코핸은 5일 뉴욕타임스(NYT)에 기고한 칼럼을 통해 골드만삭스가 페이스북의 가치를 500억 달러라고 평가했는데 이는 타임워너, 듀폰, 모건스탠리보다도 높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시장가치 2,000억달러인 GE에 페이스북의 평가 기준을 적용할 경우 3조7,000억달러가 돼야 한다고 꼬집었다. 코핸은 페이스북 뿐 아니라 징가, 그루폰, 링크드인 등 쇼셜네트워크 사이트들의 기업가치가 급등하고 있어 월가에 투입된 구제금융이 1999년의 인터넷 버블까지 되살린 것이 아내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골드만삭스는 투자금액을 낮은 금리에 조달할 수 있는데다 기업공개(IPO)시 주간사를 역할을 하고 120억 달러에 달하는 마크주커버크의 자산관리업무를 맡게 되는 등 손해 볼 일이 없는 반면 만약 버블이 꺼지게 되면 결국 일반투자자들이 손해를 입게 된다고 덧붙였다. 페이스북 등 비상장기업의 버블 문제를 주시해온 SEC는 골드만삭스의 페이스북 투자를 계기로 비상장기업 공시 규정을 재검토하고 규제 강화를 준비 중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투자와 관련, 골드만삭스가 이른바 ‘500인 규정’을 피하기 위해 특수목적회사(SUV)를 활용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1964년 제정된 SEC의 비상장기업 공시규정은 일정 형태의 주식을 보유한 주주가 500인 이상인 비상장기업은 특정 금융정보를 대중에게 공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SEC는 규정 재검토와 함께 골드만삭스의 페이스북 투자에 이용되는 SUV가 공시규정을 회피하기 위한 것인지 여부도 조사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