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노인 빈곤층 7년 새 2배… 홀로 사는 가구도 급증

노인 빈곤층이 최근 7년간 2배나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7일 ‘특정 소득취약계층의 소득구조 실태와 정책적 함의’ 보고서를 통해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를 바탕으로 할 때 기초생활보장수급 대상과 최저생계비 120% 미만의 차상위계층에 속하는 소득취약 노인가구가 2006년 72만가구에서 2013년 148만가구로 뛰었다고 밝혔다.


특히 소득 취약계층 내 노인가구 비율도 같은 기간 34%에서 56%로 뛰었다.

관련기사



‘나 홀로 가구’로 남은 노인 비중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취약계층 중 노인이 상당수를 차지하는 1인 가구의 비중은 31.5%에서 42.8%로 증가했다.

노인 가구 10곳 중 6곳은 타인에 의존해 생활해 나가고 있었다. 소득 구조를 보면 정부, 비영리단체, 다른 가구 등에서 받는 소득이 38만4,000원으로 59%에 달했다. 나머지는 근로소득(6만8,000원), 사업소득 (6만9,000원), 재산소득(1만2,000원)이었다.

한경연 이진영 부연구위원은 “노인가구주의 연령이 평균 78.4세에 이르고 주요 소득원은 정부 지원인 점을 고려해 일자리 지원이나 서비스 제공보다 현물지원 중심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