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KIKO 개선 방안 마련중"

전광우 금융위장 "환율·원자재등 가격변동 헤지수단 확충"<br>"일부 中企 손실보전 요구는 수용 어려워" 피력

전광우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23일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환헤지 상품인 키코(KIKOㆍKnock-In Knock-out)에 대해 기업들의 손실 보전은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 현재 KIKO 등 환헤지 상품에 대한 개선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전 위원장은 23일 서울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무역협회 초청 강연에서 “현재 헤지상품은 환율이 예상을 크게 벗어났을 때 기업을 보호하는 상품이 아니어서 문제가 있다”며 “수출기업의 환율 헤지 지원을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KIKO와 관련해 금감원과 관계기관들이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환율과 원자재 등 가격변동 헤지수단을 확충하고 헤지상품의 불공정판매 감독 강화와 위험고지 등 보호방안도 강구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금융위의 한 관계자는 “현재 KIKO 상품 설계구조와 판매 과정에서 설명 부족 등을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전 위원장은 “기본적으로 과거 거래의 잘잘못을 따지기보다는 향후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일부 중소기업들의 환율 헤지에 따른 손실 보전 요구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정부 환율정책 비판에 대해 그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크지 않은 만큼 과도한 개입을 해왔다는 것은 사실과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스무딩오퍼레이션(미세조정) 수준 외의 직접적인 개입은 실효성도 크지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현재 국내 자금시장에서는 장ㆍ단기 간 금리차가 축소되고 있어 경기 불안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라며 “고유가와 미국 서브프라임 부실 여파 등으로 세계 경제 곳곳에서 경기둔화 징후가 나타나는 동시에 물가가 빠르게 상승해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걱정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