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30대 그룹 대-중소기업 상생 협력 "올 2兆 지원"

지난해 보다 36% 늘어


30대그룹이 올해 대ㆍ중소기업 상생협력을 위해 지난해보다 36% 증가한 2조원을 지원한다. 15일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가 30대그룹의 상생협력 계획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올해 지원금액 규모는 1조9,468억원에 이를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30대그룹의 지원실적(1조4,307억원)에 비해 37.6%나 늘어난 것이다. 올해 지원내용을 보면 시설투자 및 운전자금 규모가 지난해 대비 36% 증가한 1조1,096억원으로 비중이 가장 컸다. 이중 기술개발ㆍ인력교육 지원이 지난해보다 43%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유휴설비 이전 36% ▦경영혁신 지원 30% ▦판로개척ㆍ정보화 지원 25% 등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또 30대그룹의 협력중소기업에 대한 현금ㆍ현금성결제 비중은 전체 결제액의 91.5%로 현금결제 거래가 정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네트워크론은 그룹당 평균 251개 협력중소기업에 1,516억원이 집행됐다. 이와 함께 협력중소기업의 시설투자와 운전자금 애로 해소를 위해 주는 저리의 협력자금은 그룹당 평균 628억원 규모로 130개의 협력중소기업에 빌려준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형태는 융자가 94%로 출연(6%) 등 출자형태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센터 관계자는 “이는 출자총액규제나 협력중소기업의 재무 불확실성, 대외이미지 저하(경영간섭으로 오해)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대기업이 출자보다는 융자를 선호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30대그룹은 상생협력 전담조직을 설치ㆍ운영 중이며 이중 과반수 그룹 이상이 구매부서 안에 만든 것으로 확인됐다. 또 협력중소기업에 대한 상생협력 실적을 최고경영자(CEO) 경영지표나 임직원 MBO에 반영, 상생협력을 활발히 추진하는 그룹과 계열사 수는 각각 12개와 25개였다. 이에 대해 센터 측은 “지난 2005년부터 본격화된 대ㆍ중소기업간 상생협력이 대기업 내부에서 시스템적으로 정착돼가고 있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현금지원 외에 30대그룹은 평균 617개의 협력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품질ㆍ생산성 지도 등을 통해 경영혁신을 촉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대기업 휴면특허의 중소기업 이전 성사율이 5.6%로 저조했다. 이에 따라 특허이전 활성화를 위해 대기업ㆍ중소기업 모두에 세제 인센티브와 등록비 지원, 특허신탁제 조기 시행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센터 관계자는 “이외에 30대그룹은 협력업체의 인적역량 증진을 위해 온ㆍ오프라인 직무전문교육과 직업훈련컨소시엄 참여 등 지원을 하고 있다”며 “전사적자원관리(ERP) 구축을 통한 정보화지원과 해외공동진출 등의 협력활동을 통한 판로개척도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