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원전 해체센터 잡아라" 지자체 유치전 후끈

원전 23기중 절반 수명 얼마 안남아

해체시장 블루오션으로 떠올라

경북·부산·울산 등 3곳 앞다퉈 홍보전·서명운동 나서

정부, 연말까지 입지 선정키로


수명이 다 한 원자력발전소를 해체하는 시장을 겨냥한 국내 지방자치단체간의 주도권 확보 경쟁이 불붙고 있다. 정부가 원자력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해체센터)의 입지를 연말까지 선정키로 한 가운데 전국 8개 광역지자체가 유치 의향서를 제출한 상태다. 이중 특히 원전이 위치한 경북(경주), 부산(기장), 울산(울주군) 등 3곳이 사활을 건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 전세계 원전해체 시장은 오는 2050년까지 1,000조원에 달할 정도로 새로운 블루오션 시장으로 꼽히고 있어 각 지자체들이 국내에서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로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복안이다.

23일 경북도·부산·울산시에 따르면 경주시의회는 지난 21일 임시회 본회의를 열고 해체센터 경주유치 촉구 결의문을 채택했다. 시의회는 "경주는 국내 원자력산업 발전에 중추역할을 해온 원전 집적지로, 이 과정에서 경주시민의 절대적인 희생과 협조가 있었음을 정부는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8월 출범한 경주 유치위원회도 유치 홍보전과 서명운동을 확산시키며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경북 역시 경주와 공조해 해체센터 경북 동해안 유치를 위해 뛰고 있다. 경북에 국내 원전 23기 가운데 절반인 11기가 위치하고 있고 방폐장까지 있어 해체센터 최적지임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신한울 1·2호기 및 3·4호기(울진), 신월성 2호기(경주), 영덕 원전 부지 등 향후 경북 동해안에 신규 원전 9기가 건설중이거나 건설예정이어서 해체센터 유치 무산시 '신규 원전 보이콧'도 시사하고 있다.


경북도는 이미 원전 관련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관련 용역을 거쳐 연계산업 육성방안, 연구센터 유치전략 등을 마련해 둔 상태다.

관련기사



부산시도 시장이 지난 지방선거에서 해체센터 유치를 공약으로 내건 만큼 유치에 팔을 걷어 부쳤다. 지난 7월 부산대에 해체센터 유치 타당성 용역을 의뢰하고 미래부와 원자력연구원 등을 대상으로 유치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기장군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산업단지 내 부지 3만3,000㎡를 연구센터 부지로 제공하겠다고 미래창조과학부에 제안했다. 기장군은 지난달 26일 해체센터 유치위원회를 공식 출범시키고 서명운동, 캠페인, 세미나, 공청회 등을 전개하고 있다.

울산시 역시 지난 6일 대학·기업 등과 '원전해체기술 개발 및 산업 육성을 위한 컨소시엄 협약'을 맺고 유치전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현대중공업과 포뉴텍(옛 삼창기업) 등 원전 관련 산업 기반이 뛰어나고, 유니스트(UNIST)와 울산대 등 연구인력도 다른 지역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을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다. 울산시의회도 22일 원전특별위원회를 구성, 유치 운동의 대내·외 구심점 역할을 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현재 올 연말 완료를 목표로 원자력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건립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중이며 조만간 부지선정을 위한 평가지표를 마련, 발표할 예정이다. 유치 희망 지자체가 이 평가지표를 토대로 사업계획서를 작성, 유치 신청을 하면 정부는 이를 토대로 해체센터 입지를 정하게 된다. 센터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1,4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처럼 지자체가 원전해체시장 잡기에 적극 나선 것은 향후 국내외 원전 해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예상이기 때문이다. 국내의 경우 2012년 11월 설계수명 종료 이후 계속 운전 여부를 심사 중인 경주 월성원전 1호기를 비롯해 원전 해체가 2020년대 중반부터 집중된다. 특히 상업운전 중인 원전 23기중 절반인 12기의 설계수명이 2030년 내에 끝날 예정이어서 원전 해체에 대한 대비를 서둘러야 하는 상황이다. 세계적으로도 상업용 원전 440기중 430기가 2050년 설계수명이 종료됨에 따라 해체 대상이 되고, 이에 따른 시장 규모는 1,000조원대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