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미 증시 동조화 올들어 약화

주가 상관계수 작년대비 60% 축소우리나라와 미국 증시의 동조화 현상이 올들어 크게 약화됐으며 유럽경제가 점차 회복되면서 앞으로 한ㆍ미증시의 연관성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대신경제연구소는 6일 「미국 주식시장과의 동조화 현상 원인 및 향후 전망」이란 보고서를 통해 지난 92년부터 올해까지 양국 주가의 상관계수를 산출, 이같이 분석했다. 상관계수가 1에 가까우면 양국의 주가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뜻이고 마이너스 1에 가까우면 양국 주가가 반대로 움직인다는 의미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월 4일부터 지난달 14일까지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와 서울 증권거래소의 주가 상관계수는 0.33으로 지난해의 0.89에 비해 62.9% 줄어들었다. 미국 나스닥시장과 코스닥시장의 주가 상관계수도 올들어 0.27로 지난해의 0.83보다 67.5% 축소됐다. 지난 96년 뉴욕증권거래소와 서울 증권거래소의 상관관계는 마이너스 0.72로 거의 정반대로 움직이는 등 양국의 주가가 별다른 연관성이 없었으나 지난 98년 하반기 이후동조화 현상이 뚜렷해지기 시작했다. 두 거래소 시장의 상관계수는 지난 98년 상반기만 해도 마이너스 0.54였으나 하반기에는 0.53으로 반전된데 이어 지난해에는 0.89로 올라갔고 나스닥과 코스닥의상관계수도 98년 상반기 마이너스 0.77에서 하반기 0.74로 반전됐다. 대신경제연구소는 미국의 풍부한 잉여유동성이 빠른 회복세를 보이던 우리 증시에 대거 유입됐을 뿐 아니라 유럽,일본경제의 회복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우리경제가 높은 소비수준을 보이던 미국에 대한 수출 확대를 통해 외환위기를 극복하려 했던 만큼 우리 주가가 미국 주가에 민감한 반응을 보일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문병식(文柄植) 대신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최근 미국의 경기과열 우려에 따른 금리인상으로 개발도상국 증시에 유입되는 미국 자금이 줄어드는데다 유럽경제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올해 한ㆍ미증시 동조화 현상은 약화될 것』이라며 『올들어 일본, 독일, 홍콩, 말레이시아, 대만, 인도네시아 증시도 미국증시와의 상관계수가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 보고서는 또 외국인의 국내 증시 순매수와 미국 주가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외국인들이 미국 주가의 등락에 따라 국내 증시 투자패턴을 급격히 바꾸지 않고 세계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일정기간 매수 또는 매도추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외국인 순매수와 뉴욕증시 주가의 상관계수는 지난 98년 머이너스 0.18, 지난해 0.17, 외국인 순매수와 나스닥 주가의 상관계수는 이 기간 마이너스 0.26과 마이너스 0.12로 그다지 뚜렷하지 않았다. 조영훈기자DUBBCHO@SED.CO.KR

관련기사



조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