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교안보라인 이르면 내주 개각

潘장관 후임에 송민순 유력속 유명환 제2차관 부상<br>안보실장엔 윤광웅·서주석 물망…국정원장 교체설도

외교안보 라인의 개각이 임박했다. 당초 반기문 외교부 장관의 빈자리를 메우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는 듯했던 개각의 분위기가 바꿨다. 국방부 장관과 국정원장 인사까지 한꺼번에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윤광웅 국방부 장관은 지난 23일 사의를 표명했다. 이에 따라 개각은 이르면 다음주에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24일 “외교 안보 라인의 인사에 대한 가닥이 조금씩 잡혀가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인사의 분위기가 다소 달라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최근 “교체 폭이 외교안보라인이 아니라 외교부처로 한정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었다. 외교 장관 이후 다른 장관들을 인사하는 ‘순차적 개각’의 틀이 바뀔 수 있다는 뜻으로 외교라인 전체를 대상으로 한 동시 개각을 할 수 있음을 내비친 셈이다. 우선 관심은 외교통상부 장관 인선. 당초에는 송민순 청와대 안보실장이 여전히 1순위로 꼽히고 있는 가운데 유명환 외교부 1차관의 승진 가능성도 있다. 송 실장이 외교부 장관으로 옮길 경우 선배기수가 포진한 주요 대사직 등 대폭 물갈이가 불가피하다. 이 경우 후임 안보실장에는 사의를 표명한 윤광웅 장관이 검토되고 있으며 서주석 안보 수석을 발탁도 대안으로 거론된다. 국방부 출신 등 제3의 국방전문가가 기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방부 장관은 윤 장관의 사의 표명으로 교체가 기정사실화된 상황이다. 윤 장관은 2004년 7월부터 2년 이상 재임한 외교 안보팀 최장수 장관. 윤 장관은 23일 오후 청와대로 들어와 노무현 대통령에게 워싱턴 한미연례안보협의회(SCM) 결과를 보고한 후 만찬을 함께하는 자리에서 “맡은 바 일을 마무리한 것 같다”면서 사의를 표명했다. 윤 장관이 교체에 따라 육군 출신 인사가 기용될 경우 안광찬 현 비상기획위원장, 권진호 전 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 김종환 전 합참의장 등이 거론된다. 가능성은 적지만 민간인 출신을 발탁할 경우 유재건, 장영달 열린우리당 의원 등이 오르내린다. 북한 미사일 발사에 이어 핵실험 파악과 관련, 김승규 국정원장도 교체설이 나돈다. 윤 장관이 국정원장으로 옮길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1월부터 재임한 이종석 통일부 장관은 일단 유임 가능성이 높지만 북핵 사태 이후 포용 정책이 도마 위에 오르고 야당의 경질 요구가 거세지면서 안심할 수 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