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안티대우' 세력도 행보 빨라져

'지금은 재평가 운운할 때 아니다' 은닉재산 환수·피해자 보상 촉구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의 귀국을 맞아 김 전 회장에 대한 사면 또는 검찰의 봐주기 수사를 차단하려는 ‘안티 대우’ 세력의 행보도 빨라지고 있다. 김 전 회장의 귀국사실이 알려지자 참여연대 경제개혁센터(소장 김상조 한성대 교수)는 13일 논평을 통해 “최근 김 전 회장의 ‘공’과 ‘과’를 재평가해야 한다는 주장이 김 전 회장의 측근들에 의해 제기되고 있는 것에 우려를 표명하지 않을 수 없다”며 “지금이 재평가를 운위할 때가 아닌 것은 김 전 회장에 대한 ‘첫번째 평가’, 즉 사법적 판단도 이뤄지지 않았고 이를 위한 기본적인 사실관계조차 제대로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시민단체 활빈단(대표 홍정식)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김 전 회장은 자진 귀국해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할 입장인데도 몰락한 영웅같이 우호적인 동정여론을 조성하려는 듯한 오만한 자세를 보이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다”며 “김 전 회장이 41조원 분식회계, 10조원 사기대출, 해외로 빼돌린 20조원 등 범법내용 전모를 검찰수사에서 낱낱이 털어놓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옛 대우 계열사 소액주주 등으로 구성된 대우피해자 대책위원회(대표 박창은)는 보다 적극적인 행동에 나설 태세다. 피해자 대책위는 14일 오전 인천공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김 전 회장의 은닉재산 환수와 피해자 보상을 촉구할 예정이다. 대책위 관계자는 “대우사태로 피해를 입은 소액주주만 20여만명으로 피해액은 3조원에 이른다”며 “국민정서에 반하는 조기사면에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피해자 대책위는 이에 앞서 지난 10일 서울에서 첫 모임을 갖고 김 전 회장을 강도높게 성토했다. 이들은 “대우 패망은 실정법을 조직적·반복적으로 위반하면서 저지른 대형 금융사기이자 범법행위”라면서 “김우중씨는 은닉재산을 전부 환원해 책임을 져야 하며 대우를 비호했던 기득권 세력도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