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기혼 남녀 10명 중 6명은 만약 아이를 입양하더라도 친자식처럼 키울 수 없다고 답해 혈연 중심의 인식을 뚜렷하게 드러냈다.
이달 말 우리나라의 헤이그국제입양협약 가입을 계기로 국내 입양을 보다 활성화하려면, 정부가 입양아에 대한 양육비 지원 등을 크게 늘릴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13일 보건복지부와 보건사회연구원의 ‘2012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를 보면, 20~44세 기혼여성 1,020명 중 12.5%는 “입양을 고려한 적이 있다(고려하다 포기 11.0+적극 고려 1.5)”고 밝혔다.
이에 비해 실제로 입양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는 0.6% 정도에 그쳤다.
임신을 시도하고도 1년 이상 아이가 생기지 않아 ‘난임’ 진단을 받은 여성은 입양 고려율이 29.7%(고려하다 포기 24.6+적극적으로 고려 5.1)까지 높아졌다.
그러나 실제 입양 경험률은 난임 여성 역시 0.8%에 불과했다.
아울러 15~64세 기혼 여성 8,236명에게 “입양한 아이도 내가 낳은 자식과 같이 잘 키울 수 있는가”라고 묻자 절반이 넘는 57.9%가 “그렇지 않다(매우 그렇지 않다 21.4+그렇지 않다 36.5)”고 대답했다.
이 같은 부정적 반응의 비율은 지난 2009년 조사 당시(45.1%)와 비교해 12%p 이상 높아진 것이다.
같은 질문에 기혼 남성 1,811명 중 56.7% 역시 회의적 태도를 보였다.
김승권 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난임 부부뿐 아니라 전반적으로 국내 입양이 매우 드문 사회”라며 “혈연, 핏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화가 가장 중요한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은 “보호가 필요한 아이들을 시설 등에서 키우는데 정부 재원이 들어가는 만큼, 입양 가정은 결국 사회적 부담을 줄여주는 셈”이라며 “따라서 입양 가정에 대해 정부가 최소한 양육비의 절반 이상을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아동의 전체 입양 사례 1,880건 중 국내 입양은 59.8%, 해외 입양은 40.2%를 차지했다. 특히 장애아동의 경우 해외 입양의 비중이 무려 74%에 달했다.
/디지털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