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꼬여만 가는 르노삼성차 노사분규

3차례 부분파업으로 400여대 생산 차질… 이견 커 전면파업도 배제못해

르노삼성자동차의 노사분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지역경제 악영향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18일 르노삼성차에 따르면 르노삼성차 노조는 지난 17일 또 다시 부분파업을 벌였다. 이날


파업은 지난 두 차례에 걸친 부분파업보다 강도가 높아진 주간조 2시간에 야간조 4시간으로 총 6시간이었다.

르노삼성차 노사는 지난달 말 노조의 쟁의행위 돌입 이후 9차례 본교섭과 14차례의 실무교섭을 진행했지만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특히 임금동결과 연차의 비(非)가동일을 놓고 사측은 노조에 양보를 요구하는 반면 노조는 수용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노조는 사측이 전향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으면 파업 시간을 늘린다는 입장이어서 파업 장기화와 함께 조만간 전면 파업사태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노조의 부분 파업이 이어지면서 르노삼성차의 생산 차질도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사측은 지금까지 3차례의 부분 파업으로 현재까지 400여대의 생산차질과 70여억원의 손실을 입었다고 밝혔다. 또 전면 파업사태가 벌어지면 하루에만 600여대의 생산 차질과 115억원 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이번 부분 파업은 최근 신형차 출시 이후 모처럼 쇄도하고 있는 차량 계약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 르노삼성차는 이달 초 신형SM5 TCE를 출시한 뒤 현재까지 300여대의 계약을 받았지만 잇따른 부분 파업으로 하루 40여대에 이르는 출고 물량을 맞추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다 부산지역 일부 진보 성향의 시민단체들이 르노삼성의 부산공장 투자와 구조조정 중단 등을 요구하는 시민토론회를 열기로 하면서 지역경제계와 갈등을 빚을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들 시민단체는 현재의 르노삼성 위기가 불가피한 경영위기가 아니라 르노 본사의 과도한 이윤 빼가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부산상의 등 지역경제계는 이에 대해 "부산 시민들이 살린 르노삼성차가 노조의 파업장기화로 위기를 맞는 지역 경제계로서는 큰 위기가 아닐 수 없다"며 "더 큰 문제는 르노삼성 노사 갈등이 내부 문제를 넘어서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경제에 직격탄이 될 것이라는 점"이라고 밝혔다. 지역경제 전문가들도 "어떤 일이 있어도 총파업으로 가서는 안 되며 조기 타결만이 르노삼성차와 지역경제가 살 길"이라고 입을 모았다.


곽경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