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강남·분당 집값 3분기에도 계속 오를 것"

강남과 분당, 용인 등에서 국지적으로 나타난 주택가격 상승세가 3.4분기에도 이어지고 파급이 인근 평촌, 수원 등지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29일 주택산업연구원과 부동산뱅크가 공동으로 주택건설업체, 부동산중개업소 239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건설업체가 본 3분기 아파트 매매가격 BSI는 서울 165,수도권 169로 전국 150보다 높았다. 중개업소들도 전국 128, 서울 148.9, 수도권 147.5로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의가격 상승 가능성을 점쳤다. 판교신도시 개발에 따른 주변지역 주택가격 전망은 분양시점까지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응답이 건설업체 29%, 중개업소 29.5%였다. `분양후 상승세 지속'은 건설업체 43%, 중개업소 33.8%, `분양후 상승세 둔화'는 건설업체 23%, 중개업소 25.9% 등으로 조사됐다. 판교 입주 뒤 과밀로 주변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은 건설업체 4%, 중개업소 8.6%에 그쳤다. 중개업소 가운데 45.3%는 3분기 주택거래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 `증가한다'(31.7%)는 답변을 압도했다. 주택구입 적정 시기는 올 하반기(38.6%)를 꼽았고 내년하반기(27.3%), 내년 상반기(25%) 순이었다. 정부가 집값 안정을 위해 내놓은 양도소득세 실거래가 부과에 대해서는 주택가격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는 답변이 건설업체 8%, 중개업소 2.9%에 그친 반면 `실수요자 세부담 증가'(45%, 37.4%), `가격 전가로 매매가 상승'(18%, 28.8%)을 유도한다는 부정적인 시각이 많았다. 재건축 아파트 단지의 임대주택공급 의무화제도는 건설업체 77%와 중개업소 51%가 사업성 저하로 사업 포기 및 지연으로 주택공급이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재건축 소형주택 건설 의무비율 강화에 대해서는 건설업체가 사업성저하(37%)를가장 많이 꼽은 반면 중개업소는 대형평형의 희소가치로 불균형적인 가격상승을 초래하게 될 것이라는 응답이 56.1%에 달해 차이를 보였다. 3분기 주택건설실적은 대형업체가 증가(46.9%)를, 중소형업체는 감소(40.2%)를예상했지만 향후 주택사업 비중을 확대한다는 응답은 39%로 축소(21%)보다 높았다. 주택산업연구원은 "풍부한 유동성과 저금리 기조 등 주택가격을 불안정하게 하는 요인이 제거되지 않고 있어 국지적인 주택가격 상승이 인근의 평촌, 수원 등지로확산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유경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