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는 우리 사회의 생명선(Lifeline)이자 산업발전의 근간(Backbone)입니다”
권영한 한국전기연구원장은 “6T 주도의 기술발전도 안정적인 전기 기술의 개발 및 확보 없이는 불가능하다”며 전기기술의 역할론을 펼쳤다.
첫째 역할은 6T의 발전이 가져올 첨단산업과 고도 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고품질ㆍ고신뢰성 전기에너지의 생산ㆍ공급ㆍ이용ㆍ제어 기술을 개발하는 것. 정보통신은 물론 초정밀ㆍ초미세, 우주항공 등 어떤 미래 산업이 발전한다 해도 전기가 없으면 `도루묵`이라는 얘기다. 또다른 역할은 전기기술 자체의 6T화, 즉 융합기술의 개발이다.
권 원장은 “정보기술(IT)은 전력시스템에서부터 전기이용에까지 전과정에서, 나노기술(NT)은 전기재료나 전기화학분야와, 그리고 환경기술(ET) 등은 전통적인 전기기술과 융합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전기기술 발전의 필요에 따라 연구원은 `비전2010`프로그램을 추진해오고 있다. 이것은 동북아 전력계통 연계기술, 초고압가스차단장치, 차세대 선형 구동시스템, 대출력 마이크로파기술, 하이브리드차량용 리튬 2차전지기술 개발 사업 등의 `수퍼 프로그램`. 원자력발전기술, 초전도 전력기기, 초고속 전력통신기술, 전자기 응용 신의료기기, 플라즈마 이용 차세대 가속기, 전자파 환경대책기술, 차세대 전력반도체기술 등 전기기술과 IT, BT, NT, ET를 융합한 첨단기술을 개발하는 `퓨전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권 원장은 “모두 중요한 사업들이지만 아무래도 경제적으로나 기술적으로 파급효과가 큰 초전도 기술개발과 통일시대를 위한 동북아 전력계통 연계사업이 가장 중요한 사업”이라고 했다. 특히 동북아 전력계통 연계사업은 정부 국책사업의 하나로 러시아, 중국, 몽골, 남북한을 하나의 전력계통으로 묶는 대규모 장기사업의 하나.
권 원장은 “핵심기술인 대전력 직류송전기술의 연구가 진행 중이며 머지 않아 러시아, 남북한 등 당사국이 참여하는 타당성 평가가 이루어 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근대화, 현대화는 물론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없었다면 환란 극복도 어려웠었을 것이란 자긍심을 갖고 있는 권 원장에게도 고민은 있다.
“설비운용이나 생산기술은 선진국에 접근하고 있으나 설계ㆍ소재ㆍ소프트웨어나 첨단기술 분야에서는 아직 선진국과 격차가 큽니다”
여기에다 대학의 전기관련 학과가 줄어들고 연구원이 지방에 있어 우수 연구인력 확보가 쉽지 않은 점도 큰 애로사항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연구원은 다양한 인센티브제도 도입, 창업보육센터 설치, 투자마트 개최 등을 추진하고 있다
권 원장은 “연구예산의 대부분을 수탁활동에 의존하는 있는데 연구비의 70% 정도는 정부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원받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난 76년 설립된 전기연구원은 경남 창원 성주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236명의 연구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조충제기자 cjcho@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