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맞춤형 재테크] 29세 직장인 3년후 결혼자금 모으려는데…

주식형 적립식 펀드에 월 40만원씩 투자를<br>장마펀드 불입액 10만원 줄여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br>연금저축이나 변액연금 수입 늘면 금액 높여나가길<br>보유한 목돈 장기투자는 원자재 펀드도 괜찮아




Q: 직장에 다니는 29세의 남자입니다. 급여는 세후 200만원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저축은 매달 장기주택마련펀드 60만원만 납입하고 있습니다. 지출로는 생활비와 용돈으로 60만원을 쓰고, 나머지 80만원은 월급통장에 두고 있습니다. 은행 예·적금 만기로 700만원을 잉여자금으로 갖고 있습니다. 결혼은 3년 후 정도로 생각하고 있는데 결혼자금마련 계획에 대한 조언 부탁 드립니다. 아울러 월급통장에 있는 잉여자금 80만원을 각각 주택청약종합저축에 10만원, 연금상품에 15만원, 보장성보험에 10~15만원을 투자하고, 기타 잉여자금인 700만원은 주가지수연계예금(ELD)·주가지수연계증권(ELS)등에 투자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보험에 대한 개념도 잘 모르겠고 금융상품도 너무 많아서 이렇게 투자계획을 세운 것이 맞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상담 부탁 드립니다. A: 체계적으로 계획을 세워 돈을 관리하겠다는 시도 자체로 이미 자산관리에 대한 기본을 갖췄다는 생각이 듭니다. 계획으로 끝나지 말고 실행에 옮겨 끝까지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자산관리에 있어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본인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하는 것입니다. 의뢰인은 나름대로 방향을 잘 잡아 상품도 정하고 금액까지 산정한 것으로 보아 많은 고민의 흔적이 엿보입니다. 다만 목표를 정하지 않고 계획을 잡은 것은 좀 아쉬운 부분입니다. 구체적인 목표를 정할 때는 다음 세가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첫째로 무엇(목표)을 위해 저축(또는 투자)를 하는가. 둘째, 언제(시기) 그 목표를 이룰 것인가. 셋째, 얼마(금액)의 금액이 필요한가 등입니다. 이렇게 목표와 시기와 금액을 결정한 뒤 그에 맞는 상품을 선정해야 합니다. 우선 의뢰인께서 세우신 계획을 바탕으로 하나씩 말씀드리겠습니다. 3년 뒤에 결혼을 생각하고 계시므로 결혼자금을 준비하셔야 합니다. 적금ㆍ펀드 혼합상품에 월 40만원 투자할 계획이신데, 혼합상품보다는 주식형 적립식펀드를 추천합니다. 3년 정도 투자할 경우 적립식펀드가 위험을 분산하면서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월 40만원으로는 결혼자금으로 충분치 못한 금액으로 판단되므로 현재 가입하고 있는 장기주택마련펀드를 추가적으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아파트나 시프트 분양에 대비해서 주택청약종합저축을 생각하신 것 같은데 계획하신 대로 실행에 옮기시기 바랍니다. 연금펀드나 연금저축 등은 은퇴를 위한 준비입니다. 세제에 관해 꼼꼼히 살펴보고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연금펀드나 연금저축은 올해부터 연 400만원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하므로 꽤 매력 있는 상품입니다. 반면 중간에 해지하면 22%의 기타소득세를 납부하게 되므로 끝까지 유지해서 연금으로 수령하셔야 합니다. 또한 연금으로 수령하더라도 5.5%의 연금소득세를 납부하게 되니 이점을 꼭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은 세제가 맘에 걸린다면 소득공제 혜택은 없으나 비과세 혜택이 있는 변액연금이나 연금보험을 가입하시면 됩니다. 지출을 줄여 금액을 좀 더 높이시고(월 25만원~30만원) 수입이 증가하면 투자금액을 조금씩 늘려 가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보장성보험는 크게 정액보상 위주인 생명보험과 실손보상 위주인 손해보험으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어느 하나만을 가입하지 마시고 생명보험(종신보험)과 손해보험을 함께 설계해 가입하시는 게 바람직합니다. 보험은 저축성보험과 보장성보험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의료비보장이 되는 상품은 바로 보장성상품입니다. 따라서 보장성과 저축성보험(연금보험 등)을 구분해 목적에 맞게 가입하시면 되겠습니다. 끝으로 현재 보유하고 계신 목돈 700만원에 말씀 드리겠습니다. 의뢰인께서는 현재 비상자금에 대한 준비가 없으십니다. 따라서 현재 보유하고 계신 700만원 중 300만원 정도는 비상자금으로 은행의 단기예금(1년 또는 3년)에 가입하시는 게 좋습니다. 어떤 급한 일이 생겼을 때 비상자금이 준비돼 있지 않다면 손해를 보면서 펀드를 환매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 수준의 비상자금은 항상 가져가시기 바랍니다. 나머지 400만원으로 ELD나 ELS에 투자하시면 되겠습니다. ELD와 ELS는 비슷한 상품인데 일반적으로 ELD는 원금보장이 되나 상대적으로 기대수익이 낮고 ELS는 원금보장은 되지 않으나 상대적으로 기대수익이 높습니다. 만약 장기적으로 투자하신다면 원자재펀드도 함께 추천해 드립니다. ※실전재테크의 지상 상담을 원하는 독자께서는 ▦장단기 재테크 목표 ▦구체적인 자금 지출ㆍ저축 등 재테크 현황 ▦알고 싶은 금융상품 등을 구체적으로 적은 편지를 서울경제 금융부 e-메일(skdaily@hanmail.net)로 보내주세요.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