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의도나침반] 저항선

/신삼찬 하나경제硏 연구위원 저항선이란 매수세 유입에 따른 주가 상승을 정지시키는데 충분한 실제적인 매도 또는 잠재적인 매도세력이 존재하는 주가수준을 말한다. 그 종류에는 이동평균선 저항, 하향추세선, 하락갭, 전고점 등을 들 수 있다. 종합주가지수가 520선을 뚫지 못하고 되밀린 12일 같은 경우도 저항선에 부딪힌 것으로 해석된다. 인근에 자리한 60일 이동평균선의 저항을 받았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전고점 저항으로 해석하는 것이 옳을 듯하다. 테러사건후 발생한 갭을 무시하고 주가흐름이 연속된 것으로 가정한다면 테러후의 520선은 테러사건전의 고점인 580선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전고점은 차익 및 경계 매물이 집중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돌파하기가 쉽지 않은 게 사실인데 매도 강도보다 더 큰 매수세가 형성되면 돌파가 가능하다. 다행이 미국 테러후 주춤하던 외국인의 매수세가 활발한 모습을 띄고 있어 전고점 돌파가 불가능하지만은 않은 것 같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