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출자 10명중 6~7명 부채비율 250%

은행 차등금리 적용땐 상환압박 불가피 은행 대출고객 10명 가운데 6~7명은 연간소득의 250%가 넘는 은행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금융감독원은 부채비율(연소득분의 총대출금)이 250%를 넘는 고객을 잠재적 부실채무자로 규정, 만기연장이나 신규대출시 대출금리를 올리거나 담보비율을 줄이라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은행들이 본격적으로 차등금리를 적용할 경우 부채비율이 높은 고객은 금융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 부채비율 250% 왜 나왔나 금감원은 최근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산정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고객의 부채비율이 250%를 초과하는 경우 위험가중치를 현재 50%에서 최고 70%까지 높이기로 했다. 부채비율은 대출자의 총대출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것으로 연소득 3,000만원인 사람이 각 은행으로부터 빌린 돈의 합계가 7,500만원이 넘으면 부채비율이 250%를 초과하게 된다. 금감원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의 고객자료를 근거로 부채비율과 연체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채비율 100~250%대는 0.5%였으나 250~300%대는 0.8%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은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부채비율 250%를 차주에 대한 위험도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금융계는 산정기준과 내용도 제대로 알려주지 않고 파생될 문제점을 고려하지 않은 채 감독당국이 일방적으로 부채비율 250%를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했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 대출금리 0.25~1%포인트 차등화 주요 시중은행들의 기존 가계대출자 중 부채비율이 250%를 넘는 경우가 적게는 50%에서 많게는 80%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국민은행의 경우 가계대출자 중 70%가 해당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다른 은행들도 적어도 60%가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감원의 결정으로 국민은행과 기업은행은 앞으로 부채비율 250%가 넘는 고객에 대해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각각 0.25%포인트, 1%포인트 높이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이들에게 주택담보대출을 제공할 때 담보인정비율을 현행보다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 늘어만 가는 가계부담 전은행이 이 같은 기준을 시행할 경우 부채비율이 250%를 넘는 대출자들이 만기를 연장할 때 금리가 오르거나 담보비율이 하향 조정되면서 상환압박을 받게 된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이 지난해 초부터 급격히 증가했으며 대부분 3년 만기인 점을 감안하면 내년 초부터 상환압박에 시달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채비율 250%는 대출자 본인의 소득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소득이 적거나 없는 가정주부, 퇴직자,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집을 장만한 사람들이 상당수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앞으로 각종 금융거래에 있어 불이익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민열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